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화장 지웠다고 몰라보면 ‘확 그냥, 막 그냥’

등록 2014-04-14 19:22수정 2014-04-14 23:28

개그맨 김대성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신관 앞에서 익살스런 표정을 짓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개그맨 김대성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신관 앞에서 익살스런 표정을 짓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개콘 ‘취해서 온 그대’ 김대성
“저, 여기 있어요.”

손을 들지 않았다면 지나칠 뻔했다. 파란색 코트에 초록색 바지로 멋을 낸 모습이 낯설다. “여장을 안 하면 잘 못 알아봐요. ‘어~ 누구더라’ 하는 분들이 많아요.”

10일 서울 여의도의 한 커피숍에서 만난 개그맨 김대성(31)에게 여장은 달콤쌉싸름한 초콜릿이었다. 김대성은 지난해 6월 끝난 <개그 콘서트>의 ‘정여사’와 올해 1월 막을 내린 ‘전설의 레전드’에서 여장을 하고 나왔다. 데뷔 5~6년 만에 얻은 인기였다. ‘확 그냥, 막 그냥, 여기저기 막 그냥’(전설의 레전드), ‘바꾸러 왔어요~’(정여사)라는 유행어까지 만들며 존재감을 알렸지만, 여장 개그맨들의 숙명처럼 화장을 지우니 그도 사라졌다. 그는 “예능프로그램에서 섭외가 와도 여장을 하고 오라고 하더라”면서 씁쓸한 듯 웃었다.

지난달 새로 시작한 ‘취해서 온 그대’는 그가 ‘맨얼굴’을 내걸고 인정받은 꼭지라는 데서 의미가 크다. 그는 가진 것 없지만 있는 척하는 ‘허세’ 손님으로 출연해 웃음과 함께 곤궁한 현대인들의 현실을 풍자한다. 주머니 사정이 안 되는데도 기죽지 않으려고 비싼 술값과 안줏값을 물어보다 결국 가장 싼 맥주를 선택한다. 재미있으면서도 지갑이 얇은 우리네 애처로운 모습을 닮았다.

여장 벗고 맨얼굴로도 웃음폭탄
표정·말투·손동작까지…
‘있는 척’ 허세남 세밀하게 풍자

‘고뤠’ ‘느낌 아니까’ 유행어 만든
개그콘서트 내 아이디어 뱅크
“소설책 많이 읽고 이야기 떠올려”

김대성은 “여자에게 한 잔 사고 싶고, 바에서 비싼 양주 시켜 분위기도 잡아보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잖나. 자존심을 세우면서 최대한 무너지지 않으려 애쓰는 모습이 공감과 함께 재미를 주는 것 같다”고 했다. “척하는 걸 옆에선 다 아는데 혼자서 아무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그 모습 자체를 시청자들이 귀엽게 봐주는 것 같다”고도 했다.

김대성은 정치나 사회 현상 등 선이 굵은 풍자보다 소소한 일상을 파고드는 쪽이 강하다. ‘갑’이 아닌 ‘을’의 입장에서 사는 고단함을 잘 드러낸다. ‘정여사’는 억지를 부리는 손님을 꼬집었다.

2008년 <한국방송> 23기 개그맨 공개시험 때도 판매 사기꾼을 연기했다고 한다. “사람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아요.” 과장하지 않고 작은 행동들로 무릎을 치게 하는 관찰력이 좋다. ‘취해서 온 그대’에서도 표정, 손동작, 말투 등을 세밀하게 표현했다.

뜻밖에 소설책을 보며 이야기를 떠올린다고 했다. “소설책을 많이 읽어요. 베스트셀러는 다 읽고. 다양한 삶이 녹아 있잖아요. 상상, 공상도 많이 하고 글 쓰는 걸 좋아하다 보니 머릿속에 늘 이야기가 가득 차 있어요.”

김준현을 스타로 만든 유행어 ‘고뤠~’와 김지민을 주목받게 한 ‘느낌 아니까~’도 그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등 <개그콘서트>의 아이디어 뱅크다. “내가 했으면 인기를 못 얻었을 거예요. 난 잘하는 게 뭘까를 많이 고민했어요. 동료들이 잘되는 게 배아플 때도 있었지만, 부러워해봐야 소용없더라고요. 그냥 내가 해야 하는 게 뭘까, 내 생각만 했어요.” 그런 고민 끝에 나온 소소한 일상 풍자로 김대성이라는 이름을 확실히 알렸다.

원래 꿈은 영화배우였단다. “허세 아니에요. 진짜예요.” 2006년 대학 동기 안영미의 권유로 아마추어 개그맨들의 무대 <개그사냥>(한국방송)에 출연한 뒤 2007년 <문화방송> 개그 공채에 지원했는데 덜컥 붙었다. 2008년 <한국방송> 공채에도 단번에 붙는 등 개그맨으로서 재주는 타고났다. “장손이라 배우 되는 걸 결사반대하고, 개그맨이 되고도 여장을 하고 나오는 모습을 좋아하지 않았던” 부모님도 이제는 ‘우리 아들’ 하며 기뻐하는 게 가장 뿌듯하다고 한다.

한방에 주목받진 못했지만, 서서히 조금씩 존재감을 드러내는 김대성. 남들은 만류하지만 아직 배우의 꿈을 꾸고 있다고 한다. “코미디 영화에 출연하고 싶어요. 왜 웃어요? 진짜 허세 아니라니까요. 하하.”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