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무한도전’ 노홍철 빈자리 메울 만한 예능 인재는?

등록 2014-11-17 15:15

문화방송 ‘무한도전’
문화방송 ‘무한도전’
TV 이것 봐라
‘무모한 도전’의 초심이 필요해!

1년 전이라면 아마 조세호를 강력히 밀지 않았을까 싶다. 나는 그가 양배추였던 시절부터 그 싹수의 파릇함을 주장해왔는데, ‘타짱’의 불길이 너무 거셌는지 양배추찜이 되어 사라진 게 무척 안타까웠다. 다행히 다시 자신의 본명을 내걸고 꾸역꾸역 올라왔고, 지난 연말에는 <무한도전>의 ‘쓸친소’ 특집에까지 등장했다. 당시에는 이런저런 밉상짓을 했는데, 그게 기존 멤버들의 신경을 자극하며 색다른 웃음을 만들어냈던 기억이 난다. 다만 요즘 너무 대세가 돼버린 게 오히려 장애 요인이 되는 것 같다. 박명수의 견제와 타박에 너무 쨍하고 부딪칠 것 같다는 우려가 든다. <해피투게더>에서도 유재석, 박명수와 잘 맞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심지어 “너 지금 프로그램 망치러 나왔지”라며 멱살을 잡히기까지 했으니.

전직 멤버인 전진은 어떨까 싶기도 하지만, <무한도전>보다는 <신화 TV>를 부활시켜 거기에서 활약해주기를 기대한다. 데프콘도 나쁘지 않은 카드다. 하지만 이미 너무 가족 같아서 새로 충원하는 의미가 크지 않다. 현재 <무한도전>은 연이은 실수로 인해 큰 시련의 때를 겪고 있는데, 그만큼 ‘무모한 도전’의 초심을 불러일으킬 존재가 필요하다.

그래서 내가 강력하게 내미는 카드는 최종훈이다. <푸른 거탑>이나 <렛츠고 시간탐험대>에서 개고생의 아이콘으로 맹활약했는데, 요즘 같은 때에 투입돼 멤버들의 럭셔리해진 정신 상태를 초기화하는 역할을 하면 어떨까 싶다. 다만 그도 큰 결격 사유가 있다. 역시 음주운전 사건으로 한때 방송을 쉬었다는 사실. 당시 사정에 시청자는 측은지심을 보이긴 했어도, 동일 전과라는 게 많이 걸린다. 그래도 그냥 버리긴 아깝다. 나의 아이디어는 그를 ‘무모한 도전 초기화’ 프로젝트의 교관으로 임명하는 거다. 일단 혹한기 3개월 동안 독하게 멤버들을 굴리는 역할로 등장시켜보면 어떨까?

이명석 대중문화비평가

 

무너진 ‘6인 체제’의 안정감

 

<무한도전>과 ‘6’이라는 숫자 사이는 긴밀하다. 시청자가 ‘제7의 멤버’를 자처할 수 있는 것도 ‘6인 체제’에 대한 애정과 믿음이 확고했기 때문이다. ‘6’은 <무한도전> 특유의 무정형 포맷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숫자다. 3명씩 양 팀으로 갈라 게임을 할 수도, 2명씩 짝지어 느슨한 로드 무비를 찍을 수도 있고, 최후의 1인을 뽑는 서바이벌 미션이나 모두 한 팀을 이룬 공동 미션일 때도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았던 절묘한 균형의 수.

문화방송 ‘무한도전’
문화방송 ‘무한도전’
입대한 하하의 공백을 메웠던 전진보다 7인 체제하의 길이 유독 불협화음이 잦았던 것이나, <1박2일>을 비롯한 <무한도전> 이후 많은 리얼 예능들이 ‘6인 체제’로 진행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노홍철의 하차가 충격적인 건 그가 <무한도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이유지만, 바로 ‘6인 체제’의 안정감이 무너진 데서 오는 불안감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것은 달리 보면, 새로운 고정 멤버를 뽑는 일이 당장 꼭 필요한 것만은 아니라는 뜻도 된다. 즉 제작진, 출연진, 팬들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는 새 멤버 영입보다 ‘6인 체제’를 유지할 대안에 집중하는 게 더 좋다는 이야기다.

방법은 여러 가지다. <무한도전>이 늘 해오던 것처럼 게스트를 활용할 수도 있고, 객원 멤버나 인턴제도 등도 한 방법이다. 다만 지금까지는 ‘무도 라인’이라고 불리는 익숙한 인물들이 자주 등장했다면, 이 기회에 새 얼굴 발굴에 힘쓰는 것이 어떨까. 누가 들어오든 팬들은 언제까지나 ‘제7의 멤버’로 함께할 자세가 되어 있다.

김선영 TV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