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비에스 파노라마(한국방송1 밤 10시)
‘신라 청년’ 혜초 발자취 따라 나선 대한 청년들
케이비에스 파노라마(한국방송1 밤 10시) ‘청춘, 혜초’ 편. 1300년 전의 신라 청년 혜초. 앳된 얼굴, 스무살 남짓의 혜초는 구법을 위해 머나먼 천축국으로 떠났다. 인도를 넘어서 중앙아시아와 서남아시아를 여행한 구법 여행의 기록은 왕오천축국전으로 남았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견줄 만큼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기록이지만, 현재는 많은 부분이 유실돼 어떻게 인도에 갔는지, 어디까지 여행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오늘날의 청춘들이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나선다. 청년 탐험대원들이 2014 경상북도 해양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을 통해 당시 혜초가 갔던 길을 따라 나선 것이다. 해양 실크로드를 따라 45일간 8개국을 돌아보는 대장정이다. 이들은 인도까지의 여정을 추적하고, 인도에 남은 혜초의 발자취를 찾아 기록하고, 그의 마지막 여정까지 돌아보게 된다. 청년들은 혜초의 험난한 여정을 함께 걸으며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어린 나이에 먼 길을 홀로 떠났던 청춘 혜초의 마음 역시 되짚는다. 탐험대원들의 모습을 통해 혜초의 초상화가 그려진다. 이렇게 부활한 청춘 혜초는 그가 입적한 중국의 한 절을 찾아간다.
카이사르, 클레오파트라에게 반해… 고전 영화 극장(교육방송 밤 12시5분) ‘클레오파트라’ 1부.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연의 1963년 작품. 기원전 48년, 폼페이우스를 격파한 카이사르는 패잔군을 뒤쫓아 이집트에 도착한다. 이집트의 어린 파라오 프톨레마이오스는 폼페이우스의 목을 쳐서 카이사르의 환심을 사려 하지만, 카이사르는 못마땅해 한다. 카이사르의 힘이 필요했던 프톨레마이오스의 누나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르의 침소로 향한다. 클레오파트라에게 마음을 빼앗긴 카이사르는 그를 이집트 여왕으로 추대한다. 나중에 클레오파트라를 로마로 맞아들이지만, 곧 이어 원로원 의원들에 의해 살해당한다.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한 대작.
잘 놀다 엄마아빠 때리는 아기, 왜?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에스비에스 오후 5시30분) ‘공격적인 아기 13개월 예승, 두 얼굴의 손자 3살 수혁’ 편. 13개월 예승이는 예쁘다고 안아주는 아빠의 얼굴을 꼬집는가 하면, 잘 놀다가도 갑자기 엄마의 얼굴을 때리는 등 돌발행동의 연속이다. 공격적인 행동이 도무지 고쳐지질 않는다. 이런 공격적인 행동의 이유를 밝혀본다. 또, 3살 수혁이는 일을 하는 엄마를 대신해 갓난아기 때부터 할머니의 보살핌으로 자랐다. 그런데 낮에는 할머니에게 재롱도 부리고 말도 잘 듣지만, 엄마만 집에 오면 180도 변해 할머니의 손길을 완강히 거부한다. 수혁이의 양면적인 행동 속 숨겨진 비밀도 찾아본다.
카이사르, 클레오파트라에게 반해… 고전 영화 극장(교육방송 밤 12시5분) ‘클레오파트라’ 1부.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연의 1963년 작품. 기원전 48년, 폼페이우스를 격파한 카이사르는 패잔군을 뒤쫓아 이집트에 도착한다. 이집트의 어린 파라오 프톨레마이오스는 폼페이우스의 목을 쳐서 카이사르의 환심을 사려 하지만, 카이사르는 못마땅해 한다. 카이사르의 힘이 필요했던 프톨레마이오스의 누나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르의 침소로 향한다. 클레오파트라에게 마음을 빼앗긴 카이사르는 그를 이집트 여왕으로 추대한다. 나중에 클레오파트라를 로마로 맞아들이지만, 곧 이어 원로원 의원들에 의해 살해당한다.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한 대작.
잘 놀다 엄마아빠 때리는 아기, 왜?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에스비에스 오후 5시30분) ‘공격적인 아기 13개월 예승, 두 얼굴의 손자 3살 수혁’ 편. 13개월 예승이는 예쁘다고 안아주는 아빠의 얼굴을 꼬집는가 하면, 잘 놀다가도 갑자기 엄마의 얼굴을 때리는 등 돌발행동의 연속이다. 공격적인 행동이 도무지 고쳐지질 않는다. 이런 공격적인 행동의 이유를 밝혀본다. 또, 3살 수혁이는 일을 하는 엄마를 대신해 갓난아기 때부터 할머니의 보살핌으로 자랐다. 그런데 낮에는 할머니에게 재롱도 부리고 말도 잘 듣지만, 엄마만 집에 오면 180도 변해 할머니의 손길을 완강히 거부한다. 수혁이의 양면적인 행동 속 숨겨진 비밀도 찾아본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