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잉여싸롱] 남자는 없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

등록 2015-03-19 19:28수정 2015-03-19 22:49

‘착하지 않은 여자들’ (한국방송2)
‘착하지 않은 여자들’ (한국방송2)
이주의 잉여싸롱
잉여싸롱 드라마 ‘착않여’편
잉여싸롱 드라마 ‘착않여’편
착한 여자 컴플렉스를 뒤집어엎는 착하지 않은 여자들의 전성시대가 온 걸까? <한국방송2> 드라마 <착하지 않은 여자들>이 이번주 수목 드라마 시청률 1위를 차지했다. 김혜자·채시라·이하나가 여성 3대 이야기를 코믹하면서도 진중하게 풀어낸 드라마다. <한겨레티브이> 대중문화 비평 프로그램 <잉여싸롱>에서 이 드라마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놓고 수다를 떨어봤다.

서정민(영상편지) : 이곳은 도쿄 하라주쿠 뒷골목이다. 일본 출장으로 참여 못하게 됐는데, 주제가 <착하지 않은 여자들>이라 더욱 아쉽다. 2007년 방송했던 <메리대구 공방전>을 보고 이하나씨와 김인영 작가 팬이 됐다. 당시 이하나씨 인터뷰를 추진했으나 불발됐다. 언젠가 이하나씨가 음반을 내서 인터뷰할 수 있으면 좋겠다. 김인영 작가를 사석에서 뵌 적이 있는데, 또 뵙고 싶다. 두 분, 파이팅~!  

김선영 : 정말 오랜만에 만나는 여성들만의 이야기라 반갑다. 가장 재밌는 것은 기존의 남성중심 드라마들이 보여준 이야기 구도를 완전히 뒤집는다는 점이다. 이 작품의 여성들은 개인사적 성장 스토리도 있고 고민도 있고 멜로도 있는데 남자들은 기존 남성 위주 드라마의 여주인공들처럼 철저히 멜로의 상대역으로만 기능한다. 그 자체가 여성 입장에선 통쾌한 전복이다. 

이승한 : 여성들을 중심에 세운 인물 구도나 전개, 김혜자·장미희·채시라 등 배우들의 기존 이미지를 비틀어 활용하는 점까지, <착하지 않은 여자들>은 참 흥미로운 작품이다. 마치 순종을 강요하는 세상을 향해 ‘난 당신들이 바라는 착한 사람이 아니’라 선언하는 듯한 제목도 근사하다. 한 가지 근심이 있다면 혹 주인공들이 남성 캐릭터들과 ‘정상 가정’을 이루는 것이 행복의 완성인 것처럼 묘사되는 보수적 결말이 나진 않을까 하는 점인데, 부디 기우였으면 좋겠다.

[잉여싸롱] 남자는 없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