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잉여싸롱] 봉준호,괴물, 세월호

등록 2015-04-16 19:03수정 2015-04-17 17:50

잉여싸롱69회, 괴물, 봉준호, 세월호, 한겨레tv
잉여싸롱69회, 괴물, 봉준호, 세월호, 한겨레tv
이주의 잉여싸롱
‘괴물’·세월호
‘괴물’·세월호
1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하지만 세월호는 여전히 깊은 바다 속에 있고, 진실 또한 함께 묻혀 있다. 봉준호 감독의 <괴물>은 2006년 개봉작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세월호 참사와 겹치는 대목이 많다. 이뿐 아니다. 장편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부터 최근작 <설국열차>까지 봉준호 월드는 세월호 참사를 낳은 우리 사회를 날카롭고 일관된 시선으로 꿰뚫어봤다. 이번주 한겨레티브이 잉여싸롱에선 <괴물>과 세월호를 놓고 이야기를 나눠봤다.

서정민: 세월호 유가족들이 보상을 바라고 떼를 쓰는 것인 양 몰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자식을 잃은 유가족들에게 온당키나 한 일인가. <괴물>에서 변희봉의 이런 대사가 나온다. “니들 그 냄새를 맡아본 적 있어? 새끼 잃은 부모 속 냄새를 맡아본 적 있냐 이 말이여. 부모 속이 한번 썩어 문드러지면 그 냄새가 십리 밖까지 진동하는 거여. 니들 강두한테 최대한으로 잘해줘야 헌다. 자꾸 뭐라뭐라 그러면 안되아.”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뭐라뭐라 하는 사람들에게 그대로 들려주고 싶은 말이다.

김선영: <괴물> 속 재난의 근원이 세월호 참사와 구체적으로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송강호 가족이 한강으로 오게 된 배경에는 88올림픽을 앞두고 행해진 상계동 철거가 있었다. 같은 시기에 한강변도 재정비되면서 그 철거민들에게 매점 운영권을 준 거다. 이때 재정비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전두환 정권과 긴밀한 관계였던 세모그룹 회장이자 세월호 참사의 주 책임자 중 한 명인 유병언이다. 정권과 자본이 결탁한 비리의 역사가 <괴물>과 세월호를 연결하고 있는 셈이다.

이승한: 봉준호 영화 속의 재난은 표면에 드러난 사건이 아니라, 그 사건을 대충 수습하려는 과정 그 자체일 때가 많다. 괴물의 출몰 이유를 알지 못하면서 바이러스 때문이라 결론 짓는 <괴물>의 정부, 알리바이가 안 맞아도 범인 검거를 위해 눈을 감아버리는 <살인의 추억> 속 경찰들. 지난 1년 동안 우리 사회의 모습 또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리라. 부끄러운 마음으로 옷깃을 여민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