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팝 미학’의 기원, 비틀스…폴 매카트니 내한 특집

등록 2015-04-23 19:04수정 2015-04-24 10:44

이주의 잉여싸롱

잉여싸롱 ‘비틀스’편
잉여싸롱 ‘비틀스’편
마침내 폴 매카트니의 역사적인 첫 내한공연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5월2일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올림픽주경기장에서 한국 팬들과 마주한다. 마음 같아선 폴 매카트니를 한겨레티브이 잉여싸롱 스튜디오로 모시고 싶었지만, 꿩 대신 닭이라고, 비틀스 열혈 팬인 음악평론가 김작가를 모시고 비틀스의 음악세계에 대해 신나게 떠들어봤다.

이승한: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을 보다 마지막으로 무대에 올라온 폴 매카트니가 ‘헤이 주드’를 부르던 장면을 보고 ‘저건 이길 수 없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언어와 문화가 각기 다른 전세계 204개국 선수들이 죄다 따라 부를 수 있는 노래를 보유한 아티스트라니. 그런 그가 처음으로 한국 땅을 밟는단다. 벌써부터 심장이 두근거린다.

서정민: 비틀스는 짧은 활동 기간 동안 음악 스타일을 계속 바꿔가며 진화했다. 다른 밴드들이 20~30년에 걸쳐 이룰 성과를 불과 7~8년 동안 모두 이루고 장렬하게 해체했다. “서서히 꺼져가는 것보다 한번에 확 불타는 게 낫다”는 커트 코베인의 말처럼 말이다. 사실 비틀스는 영원히 불타고 있는 거다. 아직도 불이 꺼지지 않고 타오르고 있으니까.

김작가: 비틀스의 고향 리버풀에 간 적이 있다. 존 레넌이 어린 시절 자주 놀러갔던 고아원 ‘스트로베리 필즈’에 갔다가 레넌의 생가에 갔다. 마침 그곳과 폴 매카트니의 생가를 오가는 투어 버스가 있더라. 투어 일행에 은근슬쩍 껴서 매카트니 생가로 가는 동안 버스 안에서 비틀스 ‘섬싱’이 흘렀다. 그 순간과 가사가 잘 어우러지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흘렀다.

김선영: 비틀스 곡 중 제일 좋아하는 건 ‘위드 어 리틀 헬프 프럼 마이 프렌드’다. 이 곡을 처음 접한 건 어릴 때 즐겨보던 미드 <케빈은 열두살>의 오프닝곡에서였는데, 나중에 켄 로치 영화 <하층민들>에서 다시 듣게 되면서 베스트가 됐다. 역시 조 카커 버전보다는 링고 스타의 소박한 보컬이 잘 어울리는 곡인 것 같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