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방송·연예

[잉여싸롱] 한국판 ‘심야식당’, 맛도 위로도 없다

등록 2015-07-16 20:01수정 2015-07-17 03:11

이주의 잉여싸롱/ 심야식당편
SBS <심야식당>
SBS <심야식당>
먹방·쿡방 열풍 속에 <심야식당>에 대한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아베 야로의 원작만화 <심야식당>은 일본판 드라마로도 만들어져 큰 사랑을 받아왔다. 지난달 국내 개봉한 일본 영화 <심야식당>도 12만명 넘는 관객을 모았다. 그런데 최근 방영을 시작한 한국판 드라마 <심야식당>만 유독 혹평을 받고 있다. 잉여싸롱에선 왜 그런지 꼭꼭 씹어봤다.

김선영: 일본판 <심야식당>의 배경은 수십년 세월을 안고 있는 가게라는 설정이기 때문에 그을음이 묻어나는 밥집 세트부터 정말 그 자리에서 오래 장사한 곳이라는 느낌이 전달되는데, 한국판 <심야식당>은 차라리 ‘신장개업’이라는 제목이 더 어울릴 법한 공간이다. 모든 게 이제 막 개업한 곳처럼 반짝반짝 인위적이기만 하다.

이승한: 지금 남태현(아이돌그룹 위너 멤버)의 연기가 어색한 게 문제가 아니다. 베테랑인 김승우, 최재성, 정한헌, 박준면, 심혜진의 연기까지 어색한 게 더 큰 문제다. 문예영화에서 발췌한 듯한 멋부린 문어체 대사들을 진지하게 연기해야 하는 배우들은 나름 최선을 다하지만, 보는 입장에선 어색할 수밖에. 사람 사는 이야기로 담백한 맛을 내야 하는 식당인데, 말맛이 뻣뻣해 입안이 까끌하다.

서정민: 음식도 또다른 주인공이랄 수 있는데, 한국판 <심야식당>에선 너무 맛이 없어 보인다. 보통의 드라마에 나오는 소품 이상을 넘지 못한다. 음식과 에피소드의 연결고리도 약하다. 그나마 건진 건, 1회에 나온 ‘가래떡구이와 김’을 실제 먹어보니 엄청 맛있었다는 거다. 잉여싸롱 간식 중 최고다. 이렇게 맛있는 걸 그렇게 맛없게 찍다니.

-->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