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정결핍이 두 남자에게 미치는 영향〉
애정결핍이 두 남자에게 미치는 영향
백윤식과 봉태규는 나란히 서 있는 것만으로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사회적 주류나 질서에 코딱지나 날릴 듯한 변방의 기개와 여유를 전하는 인물들이다. 코미디물인 〈애정결핍이 두 남자에게 미치는 영향〉(김성훈 감독)은 이 둘을 아버지와 아들로 내세운 것만으로도 몇 점은 먹고 들어가는 게임을 벌이는 셈이다.
아리따운 여인 미미(이혜영)를 차지하겠다고 남자 대 남자로 맞장 뜨는 아버지 철동과 아들 동현의 관계는 콩가루 집안의 최종 결정판이다. 아버지의 권위나 사랑은 사회가 만든 신기루라는 듯 애초에 무시하고 간다. 윤리를 한판에 뒤집는, 이제까지 맛보지 못한 쾌감을 선사할 듯한 자세를 취한다. 둘 사이 오고가는 해코지는 점점 정도를 더해가며 이런 기대를 부추긴다. 아버지는 자신의 연애를 방해하는 아들을 꽁꽁 묶은 뒤 죽 한 숟가락도 안 주며 약을 바짝 올린다. 이에 질세라 아들은 아버지가 잠든 사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이불과 잠옷을 꿰매버린다. 백윤식은 〈싸움의 기술〉 〈타짜〉 등에서 보여줬던 멘토의 지위를 버리고 철딱서니 없는 아버지 역을 능청스럽게 해낸다. 봉태규는 〈광식이 동생 광태〉 등에서도 보여줬던 성욕에 지배당하는 노는 청년 역엔 제격이다.
하지만 후반에 가서 영화가 갑자기 착해진다. ‘예의 따위 나는 몰라’라는 거의 유일한 매력을 스스로 버려버린다. 두 주인공이 엮는 에피소드는 중반 이후 제풀에 꺾인다. 주류의 폭력을 빌려와 동성애자나 구타당하는 아내를 간간이 우스개로 삼는다. 여성 캐릭터는 욕망의 대상으로만 그려져 뒷맛이 씁쓸하다.
김소민 기자, 사진 영화방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