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이창동 감독(왼쪽)의 영화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탄 영화배우 전도연(가운데)씨와 상대배우 송강호씨가 30일 오후 서울 강남 압구정동 씨지브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상패를 들고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밀양’ 감독·배우 기자회견
영화 예매율 ‘껑충’ 뛰어 “기쁘고 영광스럽다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기쁘고 영광스러워요. 호명됐을 때부터 그날 내내 아무 생각이 없었어요. 다음날 비행기 안에서도 ‘나한테 무슨 일이 생긴 거지?’ 하면서 멍했어요.” 칸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이란 기쁜 소식을 전한 <밀양>의 세 주역, 전도연·송강호씨와 이창동 감독이 30일 서울 압구정동 극장 씨지브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상 소감과 포부를 밝혔다. 전씨에게는 외국 합작 영화에 출연할 건지, ‘월드 스타’가 된 느낌이 어떤지 등의 질문이 몰렸다. “‘월드스타’…. 그렇게까지 생각 안하려고요. 시기상조죠. 그렇게 되고 싶은 생각도 없고요.” 그는 <밀양>의 출연을 처음엔 고사했다. “시나리오가 이해가 안 되고 느껴지지 않았어요. 감독님하고 이야기한 뒤에야 신애의 상황을 알겠더라고요. 고통의 끝이 어딘지 경험해 보고 싶었어요.” 전씨는 촬영 중간에 그만두고 싶을 만큼 이번 작업이 힘들었다고 한다. 이창동 감독은 배우에게서 연기를 끌어내는 방법에 대해 “특별히 뭘 하는 게 없어서 배우들이 힘들어한다”고 답했다. “배우가 내면의 에너지를 밖으로 표출하도록 기다려요. 너무 오래 기다리니까 더 힘들었을 거예요.” 송강호씨는 “그런 방식이 연기의 전형성을 탈피하는 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도연씨는 정말 어떤 배우다 하고 말하기 어려운, 정해진 그릇에 담기 힘든 배우예요. 관객도 예상하지 못하고 저도 예상하지 못한, 나아가 전도연씨도 예상하지 못했던 감정을 (감독으로서) 원했던 것인데 (그것이) 힘들게 나왔고 화면에 담겼어요.”(이창동) 이 감독은 “어떤 한국 감독이 (내게) 만약 <밀양>이 <캐리비안의 해적 3>을 누르면 국제적인 뉴스가 될테니 그러면 할리우드로 진출하라고 농담하더라”며 “(이번 수상이) 해일처럼 몰려드는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 한국 영화가 좌초하지 않고 힘을 모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런 바람이 실현될까? 확실한 건 <밀양>이 칸 영화제 수상에 힘입어 흥행에 탄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영화 예매 사이트 맥스무비가 30일 발표한 5월31일부터 6월5일까지 예매현황을 보면, 전체 영화 예매분 가운데 <밀양>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개봉 전 23일 11.4%에서 30.3%로 껑충 뛰어올랐다. 1위인 할리우드 대작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는 70.7%에서 46.1%로 낮아져 두 영화의 간격이 15%포인트 차이로 줄어들었다.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이창동 감독(왼쪽)의 영화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탄 영화배우 전도연(가운데)씨와 상대배우 송강호씨가 30일 오후 서울 강남 압구정동 씨지브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상패를 들고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다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영화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탄 영화배우 전도연씨가 30일 오후 서울 강남 압구정동 씨지브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상패를 들고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영화배우 전도연씨가 30일 오후 서울 강남 압구정동 씨지브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이창동 감독(왼쪽)의 영화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탄 영화배우 전도연(가운데)씨와 상대배우 송강호씨가 30일 오후 서울 강남 압구정동 씨지브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