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화려한 휴가>
<화려한 휴가>를 보고서
역사적 사건에 접근하는 데에는 다양한 형식이 있을 수 있다. 다큐멘타리를 찍을 수도 있고, 스릴러나 서사극의 형식을 빌릴 수도 있다. <화려한 휴가>는 그 점에서 대단히 소박하다. 50억여원의 제작비가 들었고, 광주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가하여 대형시위장면을 찍었다고 하지만 <화려한 휴가>는 역사물처럼 보이지 않는다.
되려 <화려한 휴가>는 드라마처럼 보인다. 사실은 장면장면이 다 고증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휴가>는 역사의 어느 시점을 배경으로한 휴먼드라마처럼 보인다. 5.18이 주는 무게감도, 역사가 주는 장중함도 <화려한 휴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왜 그럴까? 그리고 그것은 바람직한가? 내 의문사항이다.
역사적 사건으로서 5.18의 비극성에만 침작했을 뿐 그 본질의 규명에 실패한 <화려한 휴가>는 그리 완성도가 높지 않은 작품이였다. 한 두어번 언급되는 '전장군'이라는 대명사만 가지고서 5.18의 역사적 맥락을 다 표현할 수 있을까? 부족해도 한참은 부족한 영화다.
<화려한 휴가>를 보는 관객중에는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유독 많았다. 그날을 기억함이라 생각은 하지만 한편으로 <화려한 휴가>는 또다른 버전의 역사신파극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었다. 역사를 소재로 다룬다면 그답게 '객관성'을 존중하고 '맥락성'을 조망해야 한다. 5.18이 단지 광주만의 고립된 사건이고, 쿠데타가 맥락도 없는 사건은 아닌 것이다. 구현하기 힘들었다고 해도 좀 더 넓은 법위와 시야를 제공했어야 마땅하다. 여기까지는 내 바람에 대한 이유들이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하나 더 있다. 왜 <화려한 휴가>는 광주라는 고립된 섬의 이야기를 보여주는 데에서 끝이났을까? 제작진이 그 만큼만 의도했다고 말해버리면 그만이지만 난 다른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사회에서는 아직도 광주는 금기이기 때문이고, 보다 중요한 것은 현실의 역관계가 영화 표현에도 한계를 지우는 것으로 보인다. 법원의 판결이라는 제약식도 있거나와 대다수의 국민이 민정당의 후신인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사회분위기에서 5.18과 쿠데타를 운운하는 것은 시대에 뒤쳐져도 한참 뒤쳐진 것으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꼭 과거사를 들먹거려야 하는가하는 묘한 사회분위기가 영화 제작의 진지한 토대를 흔들어 놓은 것이다. 그래서, <화려한 휴가>는 고립된 광주의 '역사신파극'로 밖에 자리매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날의 광주를 조망하는 후속작들이 나오기를 바란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화려한 휴가>를 보는 관객중에는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유독 많았다. 그날을 기억함이라 생각은 하지만 한편으로 <화려한 휴가>는 또다른 버전의 역사신파극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었다. 역사를 소재로 다룬다면 그답게 '객관성'을 존중하고 '맥락성'을 조망해야 한다. 5.18이 단지 광주만의 고립된 사건이고, 쿠데타가 맥락도 없는 사건은 아닌 것이다. 구현하기 힘들었다고 해도 좀 더 넓은 법위와 시야를 제공했어야 마땅하다. 여기까지는 내 바람에 대한 이유들이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하나 더 있다. 왜 <화려한 휴가>는 광주라는 고립된 섬의 이야기를 보여주는 데에서 끝이났을까? 제작진이 그 만큼만 의도했다고 말해버리면 그만이지만 난 다른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사회에서는 아직도 광주는 금기이기 때문이고, 보다 중요한 것은 현실의 역관계가 영화 표현에도 한계를 지우는 것으로 보인다. 법원의 판결이라는 제약식도 있거나와 대다수의 국민이 민정당의 후신인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사회분위기에서 5.18과 쿠데타를 운운하는 것은 시대에 뒤쳐져도 한참 뒤쳐진 것으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꼭 과거사를 들먹거려야 하는가하는 묘한 사회분위기가 영화 제작의 진지한 토대를 흔들어 놓은 것이다. 그래서, <화려한 휴가>는 고립된 광주의 '역사신파극'로 밖에 자리매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날의 광주를 조망하는 후속작들이 나오기를 바란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