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저공비행] 로맨스 영화가 사용한 ‘정치’

등록 2008-04-13 22:49

얼마 전에 <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라는 다소 기억하기 힘든 제목으로 개봉된 워킹타이틀의 로맨스 영화 <데피니틀리, 메이비>를 봤다. 이혼을 앞둔 아버지가 막 성교육을 받은 딸에게 자신이 어떻게 아내와 만났는지 들려주는 이야기인데, 그 이야기에 나오는 세 여자들 중 어느 쪽이 아이의 엄마가 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는 데에 이야기의 트릭이 있다.

하지만 나에게 관심이 있는 건 서술 트릭이 아니라, 주인공 윌 헤이즈가 겪는 시대의 흐름이다. 헤이즈는 1970년대 초에 태어나 90년대 초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에 뛰어든 소위 엑스 세대다. 영화는 그가 그 동안 만난 세 여자들과 얽히면서 연애를 하고 깨지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도 하지만 그러는 동안 그가 90년대 미국을 살아가면서 성장하고 좌절하는 과정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고, 사실 영화의 진짜 주제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이 영화는 로맨스보다는 미국 엑스 세대의 자기고백으로 더 잘 먹힌다.

그런데 여기서 또 재미있는 것은 그런 과정을 그리는 도구로 정치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야기는 1992년, 막 대학을 졸업한 윌이 빌 클린턴의 선거운동원으로 일하면서 시작된다. 당연한 일이지만 당시 민주당 선거 운동이 상세히 묘사되고 정치가들의 실명과 스캔들 역시 언급된다. 조지 부시가 짧게 농담거리로 등장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건 미국에서는 이상하지 않다. <웨스트 윙>과 같은 정치물 뿐만 아니라 <보스턴 리걸>과 같은 법정물에서도 주인공은 당연하다는 듯 자신의 정치성향과 지지정당을 밝히고 다니니까. 하지만 우리 관객들에겐 신기하다. 우린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정당이나 정치가의 실명을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밀양>의 도입부에서 송강호가 지나가는 어조로 한나라당을 언급하자 사람들이 신경질적으로 웃어대던 걸 기억하시는지? 우리에겐 그런 것들도 정말 신기하다. 우리나라 영화나 드라마에서 정치가나 정당이 언급되려면 그들은 일단 과거가 되고 역사가 되어야 한다(<화려한 휴가>, <스카우트>, <제5공화국>) 하지만 <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와 같은 일반적인 로맨스 영화가 자연스럽게 정치 환경을 언급하는 걸 보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나는 대머리가 싫어요!’를 외치던 <소년, 천국에 가다>와 같은 영화도 시대 배경이 1980년대다.

이번 총선에서 20대의 투표율이 19%에 불과했다고 한다. 슬픈 일이지만 이런 문화 환경에서 그건 당연한 일 아닌지. 말해지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나라 드라마와 영화는 정치 현실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된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정치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이름을 바꾸거나 빼고 완곡어법을 취해야 한다. 사실 그래야 할 이유가 전혀 없는데도. 이런 것들이 문화생활의 전부인 사람들이 투표에 관심이 없는 건 당연한 일이다. 존재하지 않는 것에 어떻게 신경을 쓰겠는가?

듀나/영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