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사위원장 맡은 숀 펜 속내에 관심
‘놈놈놈’ 월드프리미어…‘하녀’ 상영도
‘놈놈놈’ 월드프리미어…‘하녀’ 상영도
제61회 칸 국제영화제가 14일 개막했다. 데이비드 린치 감독 사진으로 만든 거대한 공식 포스터가 붙은 영화제의 주상영관 ‘팔레’ 주변은 새 영화를 찾으려는 기대감으로 이미 충만하다. 그러나 올해 칸이 내세운 모토는 ‘덜 화려하게, 더 내실 있게’다. 지난해 60살 회갑잔치처럼 흥청망청했던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가지 않을 거라는 의미다.
올해에는 경쟁부문 22편을 포함해 모두 57편의 장편영화가 상영된다. 이 가운데 55편이 세계에 처음 선보인다. 칸이 전통적으로 사랑해온 거장들의 이름은 여전하다. <아들>로 황금종려상을 받았던 다르덴 형제가 <로나의 침묵>으로 칸을 찾았고, <체인즐링>의 클린트 이스트우드, <팔레르모 슈팅>의 빔 벤더스가 익숙한 걸음으로 레드카펫을 밟을 예정이다.
올해 칸 영화제는 지난 5년간 우대해 온 한국과 일본을 슬쩍 외면했다. 대신 새로운 대륙인 동남아시아와 남미로 고개를 돌렸다. 부산영화제에서 발견된 싱가포르 감독 에릭 쿠와 필리핀 감독 브리얀테 멘도자는 각각 신작 <나의 마술>과 <세르비스>로 경쟁부문에 처음 입성했다. 칸의 적자인 브라질 출신 월터 살레스, 국내에도 여성영화제로 소개된 아르헨티나 여성작가 루크레시아 마르텔 등이 경쟁부문에서 역동적인 힘을 과시하고 있다. 체 게바라의 일대기인 스티븐 소더버그의 <체>도 경쟁부문에서 라틴 아메리카 붐에 한몫을 더하는 눈치다.
축제의 주인 자리는 내줬지만 한국 영화인들 역시 축제의 그늘에서 자축연을 즐길 만은 하다. 비경쟁부문에 참여한 김지운의 신작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은 폐막 전날인 24일 월드 프리미어 상영되고, <추격자>는 비경쟁 심야상영 부문에서 밤을 잊은 기자들을 만난다. 봉준호 감독이 참여한 옴니버스 영화 <도쿄!>는 또다른 경쟁부문인 ‘주목할 만한 시선’에 출품됐다.
고 김기영 감독의 <하녀>가 클래식 부문에서 상영되는 것은 의미가 크다. 진정한 영화 대국으로 행세하려면 신진 작가를 내놓는 것만큼이나 오랜 영화적 유산을 과시하는 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칸 영화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재미는 올림픽 지켜보듯 황금종려상의 행방을 예측해보는 것이다. 현지 언론들의 관심은 올해 심사위원장인 미국 배우 숀 펜의 속내에 쏠려 있다. 프랑스 언론들은 그가 ‘가재는 게 편’이라는 비난도 불사하고 선배 클린트 이스트우드에게 황금종려상을 안길 것인가를 놓고 내기를 벌이고 있다.
숀 펜의 반응? 다혈질 성격파답다. 그는 ‘클린트 이스트우드와의 관계가 심사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직설적으로 답해 모두를 침묵시켰다. “만약 이스트우드 영화가 상을 받을 만하면 그냥 썅 줘버릴꺼야. (We’re gonna fuck award it!)”
칸/김도훈 <씨네21> 기자 groove@cine21.com 사진 손홍주 <씨네21> 기자 lightson@cine21.com
칸/김도훈 <씨네21> 기자 groove@cine21.com 사진 손홍주 <씨네21> 기자 lightson@cine21.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