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강철중: 공공의 적1-1’에 출연한 설경구, 정재영 그리고 강우석 감독(가운데).
2일 오후2시 서울 종로 서울극장에서 <강철중: 공공의 적1-1>(제작: KnJ엔터테인먼트)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2001년 전국 300만, 2006년 전국 400만 관객동원과 한국영화 최고의 캐릭터로 손꼽히는 '강철중'. 한국영화 최초 흥행시리즈 <공공의 적>이 타이틀 롤을 강화해 <강철중: 공공의 적1-1>로 돌아왔다. 영화 <공공의 적>시리즈는 그 시대를 대변하는 '공공의 적'과 그 '공공의 적'에 맞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의를 만들어 가는 '강철중'의 통쾌한 대결을 그려 많은 관객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공공의 적>시리즈는 타이틀 자체만으로 세간의 화제였고 그 화제의 중심에는 바로 '강철중'이 있었다.
이 날 시사회가 끝난후 마련된 간담회에서 설경구, 정재영 그리고 강우석 감독을 만날 수 있었다.
설경구는 강력반 형사 캐릭터에 대해 "처음 캐스팅 제의가 왔을 때 전에 해봤던 역이라 거저 먹는줄 알았다"며, "편하게 생각했었는데 크랭크인이 다가올수록 불안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감독님께 촬영 일정 좀 늦춰달라고 했다"고 어려웠던 점을 털어놨다.
극중 정재영과의 액션 장면에 대해 설경구는 "1편의 이성재, 2편의 정준호보다 정재영이 더 미웠다"며, "자기 자식은 곱게 키우고 남의 자식에게는 칼을 쥐어주는 모습이 너무 싫었다"고 말했다.
이어서, "대한민국 청소년들이 실제로 합숙하며 깡패로 성장한다는 기사를 접했다"며, '안타까운 마음에 더욱 열심히 연기하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설경구는 "스태프들의 대부분이 공공의 적 1편부터 실미도까지 같이 일했던 분들이다"며, "그분들이 공공의 적 1편 때의 감정으로 돌아가 일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신인이던 2002년의 감정을 되살리기가 쉽지 않았다"며, "오래 호흡을 맞춰 온 스태프들과 동료 배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밝혔다. 정재영은 조직폭력배 두목 역할에 대해 “전작에서 이성재, 정준호가 악역을 너무 훌륭하게 소화했다"며, "솔직히 악역을 맡아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감독님이 버팀목이 되어 주셔서 재미있게 촬영했다”며 “개봉일이 다가오자 내가 영화에 피해를 주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앞선다”고 전했다. 또한, "놀라웠던 것은 이같은 인물이 뉴스 상으로 실존 인물이었다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영화 <강철중: 공공의 적1-1>은 오는 19일 개봉한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설경구는 "스태프들의 대부분이 공공의 적 1편부터 실미도까지 같이 일했던 분들이다"며, "그분들이 공공의 적 1편 때의 감정으로 돌아가 일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신인이던 2002년의 감정을 되살리기가 쉽지 않았다"며, "오래 호흡을 맞춰 온 스태프들과 동료 배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밝혔다. 정재영은 조직폭력배 두목 역할에 대해 “전작에서 이성재, 정준호가 악역을 너무 훌륭하게 소화했다"며, "솔직히 악역을 맡아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감독님이 버팀목이 되어 주셔서 재미있게 촬영했다”며 “개봉일이 다가오자 내가 영화에 피해를 주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앞선다”고 전했다. 또한, "놀라웠던 것은 이같은 인물이 뉴스 상으로 실존 인물이었다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영화 <강철중: 공공의 적1-1>은 오는 19일 개봉한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