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몸으로만 말하고 싶다

등록 2009-12-11 13:35

차승원
차승원
<시크릿> 차승원
“7kg 빠졌나…지금이 딱 내가 좋아하는 얼굴”
■ <씨네21> 바로가기
살이 쏙 빠졌다. 광대뼈와 턱 사이에는 굴곡이 완연하다. 얼마 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촬영현장에선 갓끈과 수염 때문에 미처 눈치채지 못했다. 움푹 팬 얼굴은 핼쑥하기보다 지독한 느낌이다. 눈빛은 더 강렬해졌다. 사진기자도 연방 찬탄하며 클로즈업의 연속이다. 멋쩍은지 차승원은 “지금 다른 배우 사진 보고 있는 것 아니냐”고 한다. 정말이지, 딴사람 같다. 예전엔 농담하면 얼굴에 장난기가 홍조처럼 슬그머니 퍼졌다. 이젠 냉소에 가깝다. “7kg쯤 빠졌나. 이준익 감독님도 내가 알고 있던 얼굴이 아니라고 하시더라. 다들 낯설어한다. 그런데 지금이 딱 내가 좋아하는 얼굴이다. 왜 좋은지는 내가 깨달아야겠지.”

달라진 건 또 있다. 말수가 줄었다. 지방에서 <시크릿> 무대 인사하고 새벽에 서울에 도착, 쉬지도 못하고 곧바로 인터뷰를 해야 했던 탓이라 여겼는데, 그게 아니다. <국경의 남쪽> 때만 해도 호프집에서 기자를 붙들어두고, 혀로 스트레스를 풀던 그였다. “요샌 누가 뭘 물어봐도 심드렁하다. 설명을 굳이 해야 할까 싶고, 뭘 설명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비유를 화살 쏘듯 했던 그였는데, 이젠 말끝을 흐리거나 돌리거나 삭이거나 그것도 아니면 혼잣말을 한다. “영화 안 할 때가 딱 지금 같았다. 점점 내 모습을 찾아가는 건가. 편하긴 하다.”

차승원
차승원
전작 <아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는 물론이고 찍고 있는 <구르믈…>에서도 차승원은 웃음을 선사하지 않는다. 개봉을 앞둔 <시크릿>도 마찬가지다. 그가 맡은 역할은 살인혐의를 쓴 아내를 구하기 위해 불법도 마다않는 강력계 형사 김성열. 가족을 위해 뭐든지 할 남자이니 정 많은 캐릭터라고? 그의 설명에 따르면 “김성열이라는 인물을 끌고 가는 건 가족애라기보다 죄의식이다.” <구르믈…>의 이몽학은 이상만을 좇는 캐릭터. “둘 다 가슴 따뜻한 남자는 아”니다. 누군가는 갑작스런 변신이라고 하지만, 그는 최근에 맡은 캐릭터들이 몸에 훨씬 잘 붙는다고 했다. “(코미디할 때는) 겉으론 웃었지만 실은 자연을 가장한 부자연의 연속이었다.”

장진 감독은 <아들>을 찍고 나서 차승원에 대해 “역할에 아주 공격적인” 배우라고 했다. 안판석 감독은 <국경의 남쪽> 때 그가 밤마다 “여관방에 능구렁이처럼 찾아들어” 촬영분량을 복기했다고 했다. <시크릿>은 어땠을까. “원죄의식 때문이라고 해도 아내에 대한 사랑이 전혀 없다고 생각할 순 없었다.” ‘두 가지 감정 모두 가져가기로’ 하고, 택한 절충안은 죽은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감정. 윤재구 감독에게 아이에 대한 그리움이나 자책장면을 충분히 넣자고 제안한 것도 그런 까닭에서였다. 아쉬움도 남는다. “재칼과 부딪치는 장면에서 불안한 감정이 너무 직접적인 표정연기로 전달됐다. 난 좀 숨겼으면 했는데….”

<시크릿> 개봉을 지켜보고, <구르믈…> 촬영이 끝나면, 그는 충전의 시간도 없이 곧바로 전쟁영화 <포화속으로>로 뛰어들어야 한다. 이번엔 북한군 장교 역할이다. “<국경의 남쪽> 때 사투리를 배우긴 했는데, 이번엔 평양 사투리를 쓴다. 함경도나 평안도 사투리는 억센데, 평양 사투리는 미묘한 뉘앙스를 띤. 지방 출신인데 조금씩 사투리가 묻어나오는. ‘종간나 새끼’ 이렇게는 못하는 거지.”

변했지만, 변하지 않은 건 차승원의 태도다. 그는 그동안 배우는 ‘캐릭터’와 ‘관객’ 사이에 존재하는 가상의 접점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한다고 여러 번 말했다. 다만, 앞으론 몸으로만 말하고 싶어 하는 그다. 그렇게 얼마간 지나면 <드라큐라>의 게리 올드먼처럼, “사자와 박쥐의 얼굴을 동시에 가진” 차승원을 만날지도 모른다.

글 : 이영진

■ <씨네21>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