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별거 부부 ‘강제 합방’ 시켰더니…

등록 2010-01-31 18:43수정 2010-02-01 16:41

별거 부부 ‘강제 합방’ 시켰더니…
별거 부부 ‘강제 합방’ 시켰더니…
휴 그랜트·사라 제시카 파커 ‘모건부부’로
<들어는 봤니? 모건부부>는 별거 중인 대도시의 중산층 부부가 뜻하지 않게 ‘깡촌’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애정을 되찾는다는 로맨틱 코미디다.

이들 부부는 요란시끌벅적한 뉴욕의 변호사 폴 모건(휴 그랜트)과 부동산 중개업자 메릴 모건(사라 제시카 파커). 하룻밤 실수로 쫓겨난 폴이 애걸복걸해서 잡은 저녁식사 뒤 함께 찾아간 메릴의 고객의 집 앞에서 살인 현장을 목격한다.

피살자는 집 주인이자 국제 무기거래상. 면소를 조건으로 경찰에 내부 정보를 제공한 그가 한 패거리한테 보복 살해된 것. 살인자의 얼굴을 기억하는 이들 부부는 암살자한테 쫓기는 신세가 되고 경찰은 이들을 증인보호 프로그램에 따라 와이오밍주의 궁벽한 마을로 보낸다. 별거 부부가 하는 수 없이 한 장소에 머물게 된 것. 그곳은 낮엔 갈색 곰이 출몰하고 밤엔 세포가 나뉘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한적하고 조용하다. 외부와 차단된 그곳에서 부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끊임없이 다투며 자신들을 반추하기. 한마을 민주당원이 누구인지 다 알고, 자동차를 쓰고 제자리에 갖다 두면 될 정도로 순박한 사람들과 동화되기. 결국 대자연 속에서 함께 곰을 만나고 말을 타고 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둘 사이에 가로놓인 벽을 하나둘 허물게 된다. 바깥 공기는 내부의 상처를 치유한다는 단순한 얘기. 그것이 강제된 것일지라도.

영화의 정수는 코미디. 뉴욕 외 다른 곳에서 만든 베이글조차 안 먹는 뉴요커 메릴, 어깨에 든 멍 모양을 아일랜드에 비유하는 런더너(런던 사람) 폴, 화해 표시로 암소와 장총을 선물하는 와이오밍 사람들의 독특한 성정이 부닥치면서 웃음이 발생한다. 경상도 전라도처럼 독특한 사투리는 기본.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엉뚱하게 되받으면서 성정이 드러나고, 중의어를 입맛대로 해석하면서 이야기의 감칠맛을 더한다.

코미디가 늘 그렇듯이 자칫하면 짧은 대사에 밴 말장난이나 비꼼, 유머를 놓칠 수 있다. 28일 개봉.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