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3D 선구자 ‘베오울프’ 아쉬운 몸값

등록 2010-02-28 18:37수정 2010-02-28 21:19

3D 선구자 ‘베오울프’ 아쉬운 몸값
3D 선구자 ‘베오울프’ 아쉬운 몸값




허지웅의 극장뎐 /

육감계의 보고, 크리스타 알렌이 열연한 <뉴 엠마뉴엘>은 입체영화였다. 삼촌이 시켰다고 거짓말하고 빌려보았는데 500원을 더 내고 받아온 편광필터 안경을 쓰자마자 마징가에 올라탄 쇠돌이의 마음이 되어 당장이라도 북괴를 무찌를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그러나 정작 튀어나오는 건 몸뚱이가 아니라 화분이었다. 이후 나는 입체영화에 대한 강력한 불신을 품고 살 수밖에 없었다. 당시에는 정말 청문회 속 5공보다 입체영화가 더 싫었다.

제임스 캐머런의 <아바타> 이후 입체영화가 대세로 떠올랐다. 사회자의 “아바따” 발음과 영진위 위원장의 도무지 불필요한 출연이 인상적이었던 <100분 토론>에서도 바야흐로 영화 역사는 <아바타> 이전과 이후로 갈린다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시민케인>도 3디(D) 입체영화로 리마스터링 할 것 같은 이 우주적인 물결의 와중에 유독 떠오르는 불행한 감독 하나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으니, 그 이름 로버트 저메키스다.

사실 할리우드에서 저메키스만큼 3디 입체영화에 모든 걸 바치고 저력과 성과를 쌓아온 감독도 드물다. <백 투 더 퓨쳐> 시리즈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그는 <포레스트 검프>와 <콘택트>, <왓 라이즈 비니스>를 거쳐 <캐스트 어웨이>를 마지막으로 2디 영화와 결별했다. 이후 <폴라 익스프레스>를 3디 버전으로 바꿔 재개봉하더니 <베오울프>는 아예 제작 단계에서부터 3디 입체 상영을 전제하고 만들었다.

<베오울프>는 말 그대로 획기적이었다. 그 안에서 입체기술은 놀이공원의 유흥이 아니라 영화 그 자체였다. 결코 기술로써 과잉되지 않고 영화 전반의 호흡과 서사에 맞추어 유기적으로 선보여졌다. 영화 상영 내내 눈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나는 <베오울프>를 통해 비로소 <뉴 엠마뉴엘>의 입체화분을 잊을 수 있었던 것이다.

기술이 아닌 영화 문법으로서의 첫 번째 3디 입체영화는 두말할 것 없이 <베오울프>다. <아바타>의 입체기술이 <베오울프>만큼 ‘영화적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나는 회의적이다. 그러나 <아바타> 이후의 입체영화 찬양 안에 그의 이름은 빠져있다. <아바타>와 며칠 차이로 선보인 <크리스마스 캐롤>의 부진도 한몫을 했다. 사실 <아바타>에 비교하면 말도 안 될 정도로 안일한 기획이기는 했다. 입체 스크루지라니!

저메키스와 캐머런을 보면 아사다 마오와 김연아 같다. 흡사 ‘원기옥’(만화 <드래곤볼>의 주인공 손오공이 생물체들의 기를 모아 쏘는 기술)을 완성한 크리링 앞에 나는 아직 변신할 게 남았다고 여유 있게 말하는 프리더를 지켜보는 독자의 심정이랄까. 타고난 재능 앞에 노력하는 자는 그저 초라할 뿐. 비극이다. 이제 와 누가 로버트 저메키스를 3디 입체영화 진영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기억한단 말인가. 기껏해야 <백 투 더 퓨쳐>나 <포레스트 검프>의 감독으로, 이도 저도 아니면 그냥 스필버그 친구로 추억될 뿐이니. 에잇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저메키스의 화려한 부활을 기대해본다.


허지웅 영화 칼럼니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