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독특한 영화세계 호평 유쾌하게 취한 홍상수

등록 2010-05-24 20:44수정 2010-05-24 21:42

홍상수 감독
홍상수 감독
독특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게 홍상수 감독의 영화다. 1996년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로 데뷔한 뒤 줄곧 ‘남녀관계’를 작품의 화두로 삼아왔다. 그의 영화에서는 일상 속 남녀들이 적나라하게 본능을 드러내고 이를 감추려는 몸짓조차 다 들여다보일 정도로 솔직하다. 위선적이거나 위악적이면서 뻔뻔하고 비열하며 간교하다. 홍 감독이 까발리는 인간 본연의 모습은, 자아비판으로 읽히기도 하지만 부족하고 모자라고 나쁘기까지 한 인간 그 자체에 대한 애정의 의미로도 읽힌다.

이번 칸 영화제에서 한국 영화로는 처음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받은 <하하하>는 제목 그대로 매우 유쾌하다는 점에서 기존 홍 감독 영화들과는 많이 달라졌다는 평을 들었다. 캐나다 밴쿠버영화제 용호상을 받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을 비롯해 <강원도의 힘>(1998년), <오! 수정>(2000년), <생활의 발견>(2002년),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2004년) 등 그의 영화는 어둡거나 우울한 시선으로 가득 찬 편이었다. 이런 개성적인 시선으로 홍 감독은 세계 영화계의 주목을 받았다. 칸 영화제는 <강원도의 힘>과 <오! 수정>을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했고, 이어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를 경쟁 부문으로 불러들이며 관심을 보였다.

홍상수 영화의 색채는 2005년작 <극장전>부터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현실 직시의 결과가 암울하고 비관적이었던 데서, 밝은 빛이 끼어들기 시작했다. 여전히 사람들이 감추고 싶어하는 욕망을 풀어헤쳐 놓았지만 그런 모습을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변화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해변의 여인>(2006년), <잘 알지도 못하면서>(2009년) 등에서도 이런 변화는 이어졌다. 끊임없이 술판이 벌어지고, 술 취해 풀어진 인물들은 숨겨뒀던 본성과 욕망을 서로 교환하기에 바쁘지만, 좀더 넉넉한 시선으로 이런 모습을 다루면서 웃음을 유발했다.

<하하하>는 이런 변화의 결정판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인물들은 술에 취해 있고, 유쾌하게 진솔한 본성을 드러낸다. 이 영화로 홍 감독은 여섯번째 찾아간 칸에서 5전6기로 상을 받았다.

김진철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