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벼랑 끝 어린 탈영병들의 슬픈 노래

등록 2010-09-26 21:15

영화 ‘탈주’
영화 ‘탈주’
[남다은의 환등상자] 영화 ‘탈주’
군복을 입은 아직은 소년 같은 세 남자가 숲 속을 달린다. 한 무리의 군인들이 그들을 뒤쫓는다. 밝은 대낮에 시작된 추격전이 밤까지 이어진다. 어둠 속에 세 남자가 두려움에 떨며 모여 있다. 한 남자가 말한다. “절대 안 돌아갑니다.” 각자 절박한 사정을 품고 나왔으나 이제 그 어디로도 돌아갈 수 없는 자들, 군대로도, 집으로도, 과거로도, 미래로도 돌아갈 수 없는 자들. 이것은 탈영병들의 이야기다. 이제 그들에게 남겨진 선택은 단 두가지다. 땅끝까지 쫓겨 가거나,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것. 그들 중 가장 여린 남자는 어두운 숲 속에서 홀로 죽음을 택한다. 그에게는 군대도, 집도, 이 나라도 나쁜 아버지들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결국은 똑같이 불행한 곳이다. 그가 스스로에게 겨눈 총소리를 뒤로하고 살아남은 두 남자는 죽음보다 피로한 탈주를 시작한다.

이송희일의 <탈주>는 제목 그대로 탈영병들의 며칠간의 탈주, 오로지 그 길만을 따라가는 영화다. 우리가 거리를 두고 그들의 긴박한 행로를 ‘구경’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영화가 육체적으로 소진되고, 피를 흘리고, 슬픔과 분노를 어찌하지 못할 때, 보는 이의 몸과 마음도 천천히 쓰러져가는 것 같다. 그건 두 남자의 입장에 쉽게 동일시되어서가 아니라, 그 고된 길 끝에 빛이 아닌 비극이 예정되어 있다는, 이 사회에 대한 비관이 이미 강렬하게 우리를 덮치고 있기 때문이다. <탈주>는 시작부터 벼랑 끝에 서 있기를 작정했으며, 벼랑 끝 경계 위에서 인물들과 함께 버틸 수 있을 때까지 견디려고 한다. 오로지 인물들의 불안과 고통에만 모든 것을 쏟아붓고 자신 역시 그 아픔을 고스란히 안고 가는 이 영화는 그런 방식으로 지금 이 사회를 비춘다. 말하자면 이 영화는 주인공들을 ‘다루는’ 대신, 그들과 같은 운명을 걷기로 결심한다. 그 결심만이 자신의 인물들이 내린 선택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믿는 것 같다.

감독은 인물들에게, 그리고 이들의 행로에 마음의 짐을 내려놓을 공간을 마련해주지 않지만, 광활한 자연의 품만은 열어 두었다. 도심에서의 추격전이 아니라, 나무가 우거지고 푸른 하늘이 펼쳐진 길 위에서의 추격전이라는 점이 때로는 가혹하게 느껴져도, 때로는 유일한 위로가 된다. 끝을 앞둔 자들만이 느낄 수 있는 순간들, 이를테면 바람에 물결처럼 흔들리는 나무들 소리, 부질없음을 알면서도 꿈꾸는 찰나의 희망, 적막한 도로의 희미한 트럭 불빛 속에서 추는 슬픔의 춤, 그런 순간들에 이 잔인한 영화의 속마음이 있다. 만약 이 영화가 점차 자기파괴적으로 변해가는 소년들의 괴물성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탈주>는 사회를 밑거름으로 장르를 소비하는 영화에 그쳤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단지 군대제도에 대해 발언하는 정치적인 이슈 때문만이 아니라, 이 영화의 바탕을 이루는 심성 때문에 <탈주>는 더 주목받아야 마땅하다. 이 사회가 망치고 있는 소년들의 고운 심성이 여기 눈물처럼 맺혀 있다.

남다은 영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