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SNS서 보는 무료 영화…새 콘텐츠 장르로 도약중

등록 2013-12-05 20:26

[문화 콕콕] 진화하는 소셜무비
5일 서울 한 극장에서 ‘금연’을 소재로 한 <세 개의 거울>이란 영화가 상영됐습니다. <동갑내기 과외하기> 김경형 감독과 <공정사회> 이지승 감독, 배우 이범수가 감독으로 참여한 옴니버스 영화입니다. 보건복지부가 금연을 권장하기 위한 ‘문화 프로젝트’로 만든 영화입니다.

<세 개의 거울>은 공공기관에서 만든 기존 홍보성 영상과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감독과 배우 모두 전문 영화인들이 제작했고, 홍보성 영화라면 으레 연상되는 허술한 이야기 구조나 조악한 영상도 아닙니다.

가장 큰 차이는 극장에서 한 번 상영한 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카카오톡 등으로 배포된다는 점입니다. 극장 상영 수준의 영화를 만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해 영화를 무료 공개하는 이른바 ‘소셜무비’입니다. 특히 영화 속 세 편 중 하나인 이지승 감독의 <트랩>은 전반부 5분을 먼저 완성해 공개한 뒤, 누리꾼들의 아이디어를 반영해 후반 5분을 완성했습니다.

소셜무비는 2년 전 한 온라인 마케팅 회사가 외국계 기업 광고를 만들면서 처음 쓴 말이라고 합니다. 비용이 조금 더 들더라도 관심을 끌 만한 괜찮은 ‘영화’로 만든 뒤, 무료로 배포해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입니다.

주로 기업 홍보용으로 쓰이던 이 소셜무비에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지난 5월 포털사이트 다음이 10억원대 제작비 전액을 투자해 인기 웹툰 <미생>을 영화화한 뒤, 누리꾼들한테 무료 공개 했습니다. 요즘 유튜브 등에서 인기 있는 영화 <출출한 여자>는 독립영화 쪽에서 실력을 인정받는 윤성호·이병헌 등 감독 5명과 최필립·홍완표 같은 배우들이 출연한 소셜무비입니다. 요리와 관련한 에피소드들을 영화로 만들어 유튜브를 통해 개봉했습니다. 영화 공개 사흘 만에 조회수 1만8000건을 기록한 뒤 네이버 쪽의 요청으로 ‘티브이(TV) 캐스트’에서도 확대 상영하고 있습니다. 홍콩 식료품업체에서 제작비를 지원받는 대신, 영화 내용에 간섭되지 않는 수준의 간접광고(PPL)를 넣어주는 방식으로 제작비를 마련했습니다.

한 영화 관계자는 “소셜무비는 무료이고 휴대전화나 컴퓨터 등으로 쉽게 접근 가능하고 전파력이 강한 만큼 영상의 질만 보장된다면 기업이나 공공기관뿐 아니라 상업영화에서도 활용 방법을 고민해볼 만하다”고 말합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