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슈퍼맨이 간다 휠체어를 타고

등록 2008-07-17 21:08

<슈퍼맨처럼!>에서 휠체어에 의지하는 장애아로 나오는 김동규(가운데)씨 등이 연습을 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슈퍼맨처럼!>에서 휠체어에 의지하는 장애아로 나오는 김동규(가운데)씨 등이 연습을 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학전 아동뮤지컬 ‘슈퍼맨처럼!’ 연습 현장
걷지 못해도 씩씩한 동규와 가족들
‘장애는 차별 아닌 차이’ 보여줄 것

“내가 할 수 있는 일도 할 수 없는 일도 많지만/ 한번 해보지도 못한다는 게 바로 문제지 흥!/ 나도 한번 시켜줘 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두 눈 뜨고 똑바로 봐! 놀래 뒤로 자빠질걸?”

14일 오후 대학로 극단 학전 연습실. 동규가 휠체어를 밀며 여동생 은영과 노래 <나도 한번 시켜줘 봐>를 부르고 있다. 초등학교 6학년인 동규는 교통사고로 휠체어에 의지해 생활하지만 영화 속 슈퍼맨처럼 건강하고 밝은 어린이다.

“아니지, 손으로 다리를 옮겨야지, 다리를 움직여선 안돼. 동규, 네 다리는 아무런 힘이 없고 기능도 못하잖아. 오케이, 다시 한번!”

김민기(57) 학전 대표가 연신 담배를 피워대며 특유의 저음으로 배우들의 동작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살핀다. 탁자 위에는 담배꽁초가 수북하다. 그는 녹차를 한 모금 달게 마시더니 입으로 음향효과를 넣는다. “잘 부르려고 하지 말고 아이들처럼 씩씩하게 불러봐! 궁짝 궁짝 궁짝 궁짝, 라이트인!”

배우의 노래가 다시 이어진다. “푸른 가로수에도 똑같은 이파린 단 한개도 없죠?/ 우린 서로 다른 수백만의 장애를 가진 바로 사람!~”

국내 최장수 뮤지컬 <지하철1호선>으로 유명한 극단 학전이 오는 29일부터 대학로 학전블루 소극장에 올리는 아동 뮤지컬 <슈퍼맨처럼!> 공연을 앞두고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슈퍼맨처럼!>(원작 폴커 루드비히&로이 키프트·음악 비르거 하이만)은 <우리는 친구다>, <고추장떡볶이>에 이은 학전의 세번째 아동극이다. <지하철1호선>의 원작팀인 독일 그립스극장의 뮤지컬 <스트롱거 댄 슈퍼맨>을 김 대표가 번안·연출했다.


<슈퍼맨처럼!>은 장애인의 일상적인 생활과 고민을 가감 없이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게 큰 특징이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천재 교수나 <말아톤>의 달리기 소년처럼 재능을 가진 ‘특별한’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소 ‘인위적인’ 감동을 이끌어내려 하지도 않는다.

뮤지컬은 교통사고로 1급 장애인이 된 초등학생 동규와 개구쟁이 여동생 은영, 보험설계사로 힘겹게 생계를 꾸려가는 엄마 등 세 가족의 이야기다. 뉴타운 재개발 지역으로 이사온 동규와 은영 남매가 주변의 편견을 극복하고 새 친구 승원과 사귀는 과정을 통해 장애는 ‘차별적인 요소’가 아니라 ‘차이와 다양성’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이 통과되었고, 장애아와 비장애아를 의무적으로 통합교육 하게 되어 있지만 학부모들의 반발로 시행은 잘 안되고 있습니다. 그런 게 우리 현실이죠.”

김민기(57)
김민기(57)
김민기 대표는 “세상에 장애 아닌 사람은 없다. 차이가 조금씩 있고 종류가 다를 뿐이지 모두가 장애인인데 그것이 다 같이 어울려 하나의 새 모습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에 공연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동규 역을 맡은 배우 김동규(28)씨는 “장애아는 우울한 아이라고 생각했는데 장애인들을 접하고 장애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오히려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더 밝고 건강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은영 역의 배우 김은영(36)씨도 “장애아 또한 우리처럼 일상스런 생활을 하고 있고, 불편하지만 열심히 생활하고 있구나 라고 깨닿게 하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다.

김 대표는 원작의 내용을 한국적 상황으로 옮기는 작업이 가장 힘들었다고 털어놓았다. 원작의 배경인 영국이나 독일의 경우 장애문제에 대한 인식과 국가의 지원이 우리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달라 작품을 거의 다시 쓰다시피 했다고 한다.

“우리 공연에서는 엄마가 보험설계사로 생계를 꾸려나가지만 원작이나 그립스극단의 공연에서는 엄마가 일하러 나가지 않고 아이들과 늘 같이 있어요. 모든 게 국가에서 보장이 되니까요. 우리는 장애인을 위한 국가의 지원이라는 게 정말 ‘새발의 피’여서 가족 중에 장애가 오게 되면 가족의 생계라는 것이 피폐해질 수밖에 없어요.”

이번 공연에는 60~70년대 활발하게 활동했던 ‘60대 할아버지’ 기타리스트 강근식씨(기타)와 베이시스트 조원익씨(플루트)가 참여해 손자, 손녀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듯 음악을 연주한다. <지하철1호선>의 최다 출연자인 이황의(42)를 비롯해 이정은(41), 김동규, 김은영, 박승원(24) 등 ‘학전표’ 배우들이 무대에 선다. 9월7일까지. (02)763-8233.

글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사진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