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오버 창작발레 <이상한 챔버오케스트라>는 사회를 구성하는 각 직업군을 오케스트라 멤버들에 빗대 갈등과 반목, 소통과 화해를 거쳐 아름다운 하모니를 이뤄내는 과정을 음악·연극·곡예 등 다양한 형식의 공연으로 표현했다. 지우영 댄스시어터 샤하르 제공
[문화‘랑’] 문화인
다양한 장르 결합한 창작발레
‘이상한 챔버오케스트라’ 공연
다양한 장르 결합한 창작발레
‘이상한 챔버오케스트라’ 공연
막이 오르면 도시를 배경으로 의사·청소부·군인·경찰·목사·요리사 등 다양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등장해 군무를 춘다. 음표 모양의 의자들이 내려오고 무용수들은 오케스트라 형태로 앉아 청진기·빗자루·소총·호루라기·십자가·국자 등 각 직업을 대표하는 소품들을 꺼낸다. 아다지오 관현악곡에 맞춰 소품들은 악기가 되어 오케스트라처럼 연주를 시작하는데, 잦은 실수로 오케스트라가 화음을 이뤄내지 못하자 사람들은 서로 다투기 시작한다.
사회를 구성하는 각종 직업인들이 하모니를 이루며 공동체가 돼 가는 과정을 오케스트라에 빗대 그리는 크로스오버 창작발레 <이상한 챔버오케스트라> 공연이 다음달 3~5일 예술의전당 씨제이토월극장에서 열린다.
오케스트라는 본래 ‘춤추다’라는 뜻의 희랍어 ‘오케스타이’에서 나온 말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연극에서 합창단이 노래하고 춤추던 장소를 ‘오케스트라’라고 불렀다. ‘지우영 댄스시어터 샤하르’의 지우영 단장은 이런 어원과 함께 한 사회의 구성이 오케스트라와 같다는 이중적 의미를 토대로 새로운 창작발레를 만들어냈다.
<이상한 챔버오케스트라>는 사회에서 발생하는 반목과 갈등, 소통과 화합의 과정을 춤과 음악, 연극, 애크러배틱 등 다양한 형태의 공연예술로 표현한다. 지휘자 역을 맡은 발레리노 이원철 등 전문 무용수들과 카메라타서울 오케스트라의 연주, 성악가 이상주·민현기·이혜경 등의 노래, 피아니스트 지선영의 연주가 무대에서 어우진다.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6번 등 우리 귀에 익숙한 다양한 클래식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 중간중간 한국방송 <개그콘서트>의 인기 꼭지였던 ‘발레리노’를 패러디한 장면 등이 등장해 소소한 웃음도 자아낸다.
지우영 단장은 “소규모 오케스트라라는 의미의 챔버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최소한 20명 이상의 다양한 직업을 가진 이웃들과 함께 살아간다는 의미에서 붙인 제목”이라며 “2시간이 넘는 다소 긴 작품이지만 33개의 다양한 직업군에 대한 묘사, 휴머니즘과 코믹함이 어우러진 스토리, 다양한 장르의 융합공연 등 볼거리가 충만해 가족공연으로도 제격”이라고 설명했다. 070-8879-4563.
유선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