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고전소설, 연극 무대에 서다

등록 2014-01-20 19:36수정 2014-01-20 21:06

고전 명작 <분노의 포도>
고전 명작 <분노의 포도>
소극장 산울림, 고전문학 6편 선정
젊은 연출가가 재해석해 무대에
“고전에 쉽게 다가가기 위한 기획”
“차가운 바람이 이렇게 속삭이네/ 겨울이 오고 있어/ 들판 가득 핀 붉은 장미/ 하나 둘 꽃잎이 떨어지네/ 조금만 더디게 와 줄 수는 없을까/ 아기가 따뜻한 새 옷 입은 날/ 그때 와 줄 수는 없을까”

오랜 방랑과 굶주림 속에서 아기를 임신한 샤론 조드의 노래가 작은 극장 안에 울려 퍼진다. 어머니 조드가 샤론의 어깨를 감싸 안자, 한 여성 관객은 손수건을 꺼내 눈가를 닦았다.

지난 18일 오후 서울 홍대 앞 소극장 산울림 무대에서 미국의 소설가 존 스타인벡(1902∼1968)의 고전 명작 <분노의 포도>(사진)가 연극으로 올려졌다.

미국 오클라호마에 살던 농민 톰 조드 가족이 거대한 모래 폭풍과 대자본의 횡포로 경작지를 잃고 낡은 트럭에 의지해 캘리포니아로 일자리를 찾아 떠도는 고단한 삶을 다룬 작품이다. 존 스타인벡이 1939년에 출간해 이듬해 퓰리처상을 받았고, 그해에 존 포드 감독과 헨리 폰다, 제인 다웰 주연의 영화로 만들어졌다.

극단 ‘걸판’은 1930년대 미국 농민과 노동자의 아메리칸 드림과 대공황기의 악몽을 그린 이 대작을 1시간40분짜리 연극으로 꾸몄다. 주말 연휴의 시작이고 작은 극장임에도 75석이 동나 보조석 10여개가 보태졌다.

회사원 조형준(45)씨는 “구체화되지 않은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서로 착취하고 기만당하는 냉소와 무시를 적나라하게 잘 표현했다”며 “연극이라는 구체적인 매체를 통해 문학의 힘을 보여주는 기획의도가 신선하다”고 말했다.

소극장 산울림이 지난 4일부터 선보이고 있는 ‘산울림고전극장2014-소설, 무대로 보다’가 연극 마니아들의 입소문을 타고 있다. 널리 알려졌지만 제대로 읽어본 이는 드물다는 고전 문학을 연극으로 만드는 기획 프로그램이다. 촉망받는 30~40대 젊은 연출가 6인이 젊은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특징. 극단 ‘모도’의 전혜윤 연출가가 일본의 문호 가와바타 야스나리(1899~1972)의 소설 <설국>을 4~15일 첫 무대로 올렸고, 극단 걸판의 오세혁 연출가가 <분노의 포도>(18 ~26일)로 뒤를 잇고 있다.

산울림 극장장 임수진(51)씨는 “국가와 시대를 초월해서 읽을 가치가 있지만 쉽게 손이 가지 않는 고전을 좀 더 쉽고, 보다 감성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연극 무대에 올렸다”고 밝혔다.

이 기획 시리즈 공연은 2월5~16일 프랑스의 시인이자 소설가 쥘 르나르(1864~1910)의 <홍당무>(극단 청년단·연출 민새롬), 2월20일~3월9일 러시아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1899~1977)의 <롤리타>(극단 작은신화·연출 정승현), 3월14~23일 김동인(1900~1951)의 <단편선>(극단 양손프로젝트·연출 박지혜), 3월26일~4월6일 일본 소설가 나쓰메 소세키(1867~1916)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극단 여행자·연출 이대웅)로 이어진다. (02)334-5915.

정상영 선임기자 chung@hani.co.kr

사진 소극장 산울림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