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과 가을 축제 기간이 아닌 8월과 9월에도 한바탕 신나는 거리공연들이 펼쳐진다. 서울문화재단이 마련한 거리예술 프로그램의 하나인 신촌 연세대로의 거리공연. 서울문화재단 제공
[문화‘랑’] 거리예술
프랑스의 거리예술 공연이 부럽습니까? 우리나라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보입니다. 봄과 가을 축제 때만 반짝 열리던 거리공연이 요즘 축제 기간이 아닌 때에도 열리고 있습니다. 8월과 9월, 거리에서 펼쳐질 역동적인 예술의 세계를 소개합니다.
프랑스의 거리예술 공연이 부럽습니까? 우리나라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보입니다. 봄과 가을 축제 때만 반짝 열리던 거리공연이 요즘 축제 기간이 아닌 때에도 열리고 있습니다. 8월과 9월, 거리에서 펼쳐질 역동적인 예술의 세계를 소개합니다.
프랑스의 거리예술 공연은 ‘68운동’과 함께 태동했다. 68운동은 1968년 학생과 노동자들이 벌인 대규모 사회변혁운동이다. 68운동으로 분출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1970년대 전문적인 창작단체들이 생겨났다. 1980년대에는 유명한 거리예술 축제들이 생겨나기 시작됐다. 거리예술 축제는 ‘일상에서 거리예술을 즐기도록’ 시즌제와 유사하게 진행한다. 시즌제는 실내공연장들이 9월에 문을 열어 다음해 6월에 문을 닫는 방식이다. 거리예술 시즌제는 실내공연을 참고로 하되, 거리예술만의 특성을 살려야 한다. 대표적인 거리예술 시즌제 프로그램은 프랑스 남부 미디피레네 지방의 ‘프로노마드’이다. 5월부터 12월까지 주말마다 도시를 돌며 공연한다. 지역민에게는 문화감동을 주고, 창작집단엔 상시공연의 기회를 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거리예술 공연은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봄이나 가을 예술축제 기간에만 반짝 열린다. 축제 기간이 아닌 평상시에는 거리공연을 즐기고 싶어도 뾰족수가 없다. 하지만 그리 실망할 일도 아니다. 걸음마 단계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개념의 거리예술 공연이 마련됐다. 8월과 9월, 거리공연과 도심축제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신촌에서 북촌까지 거리 곳곳이 곧 무대다.
‘거리 예술 시즌제-가을’ 첫선
주말마다 5곳 돌며 67회 공연 내달 13~14일 북촌뮤직페스티벌
고유한 정취에 스며드는 울림 한강물빛페스티벌 17일까지
다양한 장르 음악공연 수놓아 신촌·서울숲…일상이 축제인 거리공연 서울문화재단은 8~9월 ‘거리예술 시즌제-가을’을 처음으로 선보이고 있다. 프랑스의 거리예술 시즌제와 비슷한 시도다. 5월과 9~10월에 집중된 대규모 축제 기간 이외에도 시민들이 도심에서 거리예술을 즐길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애초 봄-가을 시즌으로 기획된 이 프로그램은,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해 ‘봄 시즌’이 연기·축소됐었다. 지난 2일부터 시작된 이번 ‘거리예술’은 다음달 28일까지 모두 8주 동안 주말마다 진행된다. 보라매공원, 서울숲, 선유도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신촌 연세대로 등 5곳을 돌며 모두 67회 공연한다. 하루에 2~4개의 작품을 선보이며 시민들의 관람 편의를 위해 더운 낮 시간대를 피해 오후 5시~9시 사이에 진행된다. 도심 거리에서 만나는 역동적인 거리예술은 꽉 짜인 실내공연장에서는 맛볼 수 없는 자유로움과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유도와 서울숲,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거리공연 관람과 함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번에 첫선을 보이는 작품으로는 의자를 중심으로 한 거리무용 <더 체어>, 판소리 춘향가를 현대무용으로 재해석한 <팝니다>, 모래를 활용한 이동식 샌드 아트 <포스트맨>, 인형극 <빈대떡 신사>, 옴니버스 형식의 이동형 음악극 <소파에 태워줄게> 등 5편이다. 모두 기발한 아이디어를 장점으로 내세운다. 지난 ‘봄 시즌’에 공연돼 시민들의 호응을 이끌어낸 바 있는 이동형 음악극 <랄라라쇼>, 풍물놀이와 동물탈춤으로 된 창작연희 <신호유희> 등 10편도 함께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sfac.or.kr)이나 축제기획팀(02-3290-7169)에 문의하면 된다. 서울문화재단은 또 구의취수장 공간을 재활용한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가칭) 조성사업’과 ‘하이 서울페스티벌’ 등 거리예술 관련 사업을 올해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음악이 휘감은 북촌, 선율이 흐르는 한강
한옥마을로 유명한 북촌과 여의도 한강변 물빛무대에서는 음악축제가 열린다.
다음달 13, 14일 북촌은 ‘음악촌’이 된다.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에 고즈넉한 한옥, 갤러리, 카페가 이어진 골목을 거닐다 어디선가 선율이 흘러나온다면 이미 당신은 축제에 초대받은 것이다. 북촌뮤직페스티벌에서는 북촌 고유의 정취와 함께 전통음악, 월드뮤직, 재즈, 클래식, 무용,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잘 짜인 실내무대와는 전혀 다른 북촌의 공간이 주는 자연스러운 울림은 관객에게 낯설지만 새로운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리뮤직의 대부 강태환(알토색소폰)은 작은 갤러리를 무대로 제자 이현석(대금)과 협연을 선보이고, 가야금을 매개로 국내를 오가면 다양한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박경소는 ‘평행, 아름다운 그의 존재’라는 제목으로 화가 박성수, 타악주자 윤여주와 협력작업을 전시한다. 백댄서 출신으로 현대무용가로 변신한 스타 춤꾼 김보람 역시 예술적 파트너인 무용가 이은경과 함께 ‘가다프로젝트’를 결성해 북촌에서 새로운 춤을 선보인다. 한국 전통(장재효)과 아프리카(정환진), 라틴 퍼커션(조재범) 대표 주자들이 한데 뭉친 프로젝트팀 부뚜막도 야외무대에서 첫선을 보인다. 공연 장소는 안국역과 정독도서관 일대로 W스테이지, 갤러리 아트링크, 게스트하우스 소리울 등이다. 모든 공연은 무료이지만 일부 공연은 사전예약(bukchonmf.or.kr)이 필요하다.
숨이 턱턱 막히는 더위를 식히며 한강변에서 음악에 젖어볼 수도 있다. 17일까지 무료로 열리는 ‘한강물빛페스티벌’이다.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2번 출구로 나와 마포대교 방면으로 걸어오면 여의도 물빛무대가 보인다. 물빛무대는 한강에 떠 있는 수상무대로, 무대에서 공연을 하면 무대 맞은편에서 시민들이 자유롭게 앉아서 관람할 수 있다. 물빛페스티벌은 저녁 7시30분부터 2시간 동안 다양한 장르의 음악공연을 선보인다.
8일 영화 <비지터> 상영에 이어 9일에는 색소폰으로 화려한 즉흥 음악을 선보이는 실력파 밴드 ‘소울풀 제이(J) 밴드’와 ‘동물원’이 무대에 선다. 15일에는 영화 <소중한 날의 꿈>이 상영되고 16일에는 타악기의 거장 류복성이 이끄는 류복성재즈밴드의 공연이 이어진다. 코리아윈드오케스트라가 17일 물빛페스티벌의 폐막식 마지막 무대를 장식한다. 상세한 정보는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물빛무대 누리집(floating-stag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손준현 기자 dust@hani.co.kr
주말마다 5곳 돌며 67회 공연 내달 13~14일 북촌뮤직페스티벌
고유한 정취에 스며드는 울림 한강물빛페스티벌 17일까지
다양한 장르 음악공연 수놓아 신촌·서울숲…일상이 축제인 거리공연 서울문화재단은 8~9월 ‘거리예술 시즌제-가을’을 처음으로 선보이고 있다. 프랑스의 거리예술 시즌제와 비슷한 시도다. 5월과 9~10월에 집중된 대규모 축제 기간 이외에도 시민들이 도심에서 거리예술을 즐길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애초 봄-가을 시즌으로 기획된 이 프로그램은,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해 ‘봄 시즌’이 연기·축소됐었다. 지난 2일부터 시작된 이번 ‘거리예술’은 다음달 28일까지 모두 8주 동안 주말마다 진행된다. 보라매공원, 서울숲, 선유도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신촌 연세대로 등 5곳을 돌며 모두 67회 공연한다. 하루에 2~4개의 작품을 선보이며 시민들의 관람 편의를 위해 더운 낮 시간대를 피해 오후 5시~9시 사이에 진행된다. 도심 거리에서 만나는 역동적인 거리예술은 꽉 짜인 실내공연장에서는 맛볼 수 없는 자유로움과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유도와 서울숲,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거리공연 관람과 함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번에 첫선을 보이는 작품으로는 의자를 중심으로 한 거리무용 <더 체어>, 판소리 춘향가를 현대무용으로 재해석한 <팝니다>, 모래를 활용한 이동식 샌드 아트 <포스트맨>, 인형극 <빈대떡 신사>, 옴니버스 형식의 이동형 음악극 <소파에 태워줄게> 등 5편이다. 모두 기발한 아이디어를 장점으로 내세운다. 지난 ‘봄 시즌’에 공연돼 시민들의 호응을 이끌어낸 바 있는 이동형 음악극 <랄라라쇼>, 풍물놀이와 동물탈춤으로 된 창작연희 <신호유희> 등 10편도 함께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sfac.or.kr)이나 축제기획팀(02-3290-7169)에 문의하면 된다. 서울문화재단은 또 구의취수장 공간을 재활용한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가칭) 조성사업’과 ‘하이 서울페스티벌’ 등 거리예술 관련 사업을 올해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옥마을 일대에서 벌어지는 북촌뮤직페스티벌 거리공연. 북촌뮤직페스티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