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전경.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제공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 산학협력단(산학협력단장 윤현식)이 6월 29일(목)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BRIDGE 3.0) 사업’ 첨단 모빌리티 분야 기술거점형 대학에 최종 선정되었다.
□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BRIDGE 3.0) 사업(이하 BRIDGE 3.0)’은 대학이 가진 창의적 자산 등 우수성과를 발굴해 최종 수요처인 기업이 원하는 기술 수준까지 고도화하고 기술이전 또는 기술창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 2015년부터 도입되어 1기(2015~2017년)에는 실용화개발, 실용화 전문조직 운영 지원 등 대학 연구성과 사업화 촉진을 통한 창의적 자산 실용화 생태계 조성하였다.
◦ 2기(2018~2022년)에는 수요기반 실용화, 기술이전 전담조직 운영 활성화 등 기업가적 대학 역할 강화를 위한 대학 체질 혁신을 지원한 바 있다.
□ 이번 3기(2023~2025년) 사업은 기술거점형과 지역거점형 2개 유형으로 구분되어, 기술거점형은 16개교를 선정하여 국가전략 기술 등 중대형 기술이전을 활성화하며, 지역거점형은 8개교를 선정하여 지역 내 기술사업화 역할을 수행한다.
□ 윤현식 서울과기대 산학협력단장은 “서울과기대는 CBO(최고 기술사업화 책임자)로 본교 중점사업추진단 부단장이자 (사)한국대학기술이전협회 부회장인 심경수 교수를 선임하였으며, 기술사업화본부를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교내 기술이전·사업화 컨트롤타워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기술거점 대학으로서 대학·지자체·기업 간 협력을 통해 경제적 가치가 큰 중․대형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성과를 창출해 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 서울과기대 산학협력단은 BRIDGE 3.0 사업 선정을 통해 ‘지·산·학 산학협력 생태계 구축을 통한 기술사업화 선도대학’ 비전을 제시하고, ‘국가전략기술 융·복합 기술거점클러스터 구축’ 및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을 통한 지역 산업 육성 기여’를 목표로 설정했다.
□ 목표달성을 위해 사회·경제적 가치창출, 대학형 기술 클러스터 구축, 기술사업화 자립화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전략으로 하여 사업을 운영해갈 계획이다.
□ 서울과기대 산학협력단은 2020년 기술료 4.38억원에서 2021년에는 8.22억원, 2022년에는 12.21억원으로 기술이전 수입료가 급상승하고 있다.
◦ (사)한국대학기술이전협회가 2021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과기대는 기존 BRIDGE+ 사업 비참여대학 중 가장 많은 총 42건의 기술 융·복합 시제품 과제를 타 대학과 수행하는 등 기술사업화 분야에서 최근 괄목한 만한 성과를 연이어 도출하고 있다.
□ 서울과기대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본부는 금번 선정된 BRIDGE 3.0 사업을 비롯하여,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지식재산 창출·활용지원사업’,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등을 연이어 수주하며 기술사업화의 전주기에 걸쳐 단계별로 기술의 고도화 및 실용화를 촘촘히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완성해 나가고 있다.
□ 이러한 최근의 연이은 성과에 대해 윤현식 단장은 “기술사업화 정부 지원사업의 수주는 서울과기대 연구자의 창의적 자산을 발굴하고 기업 최종수요와 연계하여 기술이전, 기술창업 등 기술인큐베이션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기반을 확보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라고 말하면서, “지속 가능한 우리 대학만의 차별화·자립화된 기술사업화 모델을 정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 자료 제공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이 기사는 대학이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