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 : 편강한의원
지루성피부염 치료, 심리적 안정과 피로 예방을 위한 충분한 휴식 필요!
연일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피지분비가 왕성해지고 땀까지 흘러 피부질환이 발병하기 쉽다. 특히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인 ‘지루성피부염’의 증상을 악화시킨다. 지루성피부염은 습진의 일종으로 피지 분비가 왕성한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생후 3개월 이내의 영유아와 40~70세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식습관과 환경의 변화로 발병 연령대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지루성피부염의 증상은 홍반 위에 발생한 건성 혹은 기름기가 있는 노란 비늘이 특징이다. 또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호전과 악화를 되풀이한다. 얼굴의 지루성 피부염은 뺨, 코, 이마에 1cm 미만 크기로 솟아 오른 발진으로 나타난다. 쉽게 벗겨지는 비늘과 홍반이 눈썹에서 발견되고 비늘 밑의 피부는 붉은 색을 띤다. 눈꺼풀도 황적색을 띠며 미세한 비늘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다.
피지선이 발달해 기름기가 많은 두피와 얼굴, 겨드랑이, 가슴 등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온몸으로 번지는 경우도 있다. 두피에는 쌀겨 모양의 표피탈락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런 현상을 ‘비듬’이라 한다. 지루성피부염이 두피에 생길 경우 가장 흔한 증상이 바로 이 비듬이다. 비듬이 많으면 위생상의 이유로 생각하기 쉬운데 갑자기 비듬이 생기고 오래간다면 지루성피부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지루성 피부염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대체로 피지선이 발달된 부위에 잘 나타나며 피지선의 활동이 높은 신생아기와 성인기에 발생한다. 신경계 장애 환자에게서도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신경전달 물질의 이상을 원인으로 꼽는다. 온도와 습도의 계절적인 변화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며 표피 증식의 이상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지루성피부염과 아토피피부염을 쉽게 혼동한다. 아토피와 증상이 유사하고 두 질환 모두 면역력이 약한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에게 흔히 나타나기 때문. 특히 어린 아기들의 경우 아토피가 있으면 피부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만큼 면역력이 떨어져 지루성피부염에도 쉽게 노출된다. 따라서 면역체계가 안정되어 아토피가 좋아지면 지루성피부염도 덩달아 좋아지므로 아기들의 경우 지루성피부염을 아토피의 연장선에서 관리하고 치료하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지루성피부염, 아토피까지 동시에 뿌리 뽑을 수 있는 해답은 바로 ‘폐’에 있다. 폐는 몸의 안과 밖을 연결해 자연의 원기를 흠뻑 들이마시고 내쉬는 소통창이다. 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나 과로, 두피 자극 등이 반복되면 폐에 열이 쌓이게 된다. 이로 인해 폐 기능이 떨어지면 우리 몸 방어막 제일선에 있는 편도선이 약화된다. 편도선이 무너지면 각종 유해 세균이 인체를 마음껏 침투하게 되고 이것이 각종 피부질환과 호흡기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폐 기능을 강화하여 편도선을 튼튼하게 하는 것이 지루성피부염 치료 및 예방의 핵심 키워드인 것이다. 편도선이 튼튼해지면 건강한 임파구들이 흘러나와 식균작용을 활발히 해 유해한 세균을 물리치고 인체의 면역식별력과 자가 치유능력이 극대화 되면서 지루성피부염 치료에 도움이 된다. 즉, 피부의 겉만 치료하는 것이 아닌 근본적으로 폐를 강화시켜 털구멍과 땀구멍을 활짝 열어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하고, 혈액을 깨끗이 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지루성피부염을 예방, 관리하려면 심리적인 안정과 피로의 예방을 위한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다. 평소 등산, 조깅 등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되 땀이 피부를 자극할 수 있어 운동 후에는 바로 샤워를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사우나를 이용해 땀을 흠뻑 흘리고 씻어내는 것도 피부 호흡을 촉진해 지루성피부염의 완화에 도움을 준다.
도움말 : 편강한의원 명동점 박수은 원장
* 자료 제공 : 편강한의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