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 : 편강한의원
만성비염, 코막힘 치료하는 대장 장기 ‘폐’
코막힘으로 인한 호흡 곤란과 두통을 호소하는 비염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원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2002년에 비해 2007년 50.7% 증가했다.
아토피 피부염, 천식까지 합치면 세 가지 알레르기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007년 기준으로 약 714만 명에 달한다. 환경오염과 스트레스 등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이 점점 늘어난 것을 가장 큰 이유로 들 수 있다. 갈수록 늘어나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비염 한방 치료에 대해, 편강한의원 서초점 이아라 원장을 통해 알아보았다.
겨울철에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은 찬 공기나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 담배연기, 먼지, 공해물질 등에 대해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급격히 온도가 떨어지고 건조해지며 환기를 잘 하지 않는 겨울철에 주로 비염 증상이 악화되기 쉽다.
비염은 단순히 코에 한정된 병이 아니라, 호흡기 전체와 면역식별력 등과 관계가 깊은 만큼 근본적인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의 15%가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보니, 상태가 심각하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약을 복용하고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많다. 이럴 경우 자칫 더 큰 호흡기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만큼 꾸준한 관리와 치료가 필수다.
비염을 치료하려면? 비염의 치료는 환자의 체질과 기타 합병증 여부 등을 종합해 실시하게 된다. 비염 치료의 큰 축은 면역력 회복으로, 이에 ‘폐’가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한의학에서는 간심비폐신(肝心脾肺腎)의 오장이 서로 평등하다고 본다. 각 장기를 몸 전체 지분을 20%씩 보유한 5대 주주로 비유할 수 있다. 하지만 환자들을 치료하고 임상 결과를 훑어본 결과, 다섯 가지 가운데 폐가 으뜸 장부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폐는 인체 면역력을 책임지는 편도선과 코와 연결되어, 폐가 강화되면 면역식별력이 높아지고 코의 면역성 과민 반응인 비염 역시 좋아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양방과의 협진을 통해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인자를 확인하고, 유발 인자에 대한 노출을 가급적 피하는 것도 알레르기 비염 환자를 위한 생활 관리법이다. 몸의 기능, 양기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좋고 공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폐를 강화하는 치료를 받고, 알레르기 항원 인자 즉 유발인자 노출을 피하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비염 치료는 가능하다. 만성 비염으로 인한 코막힘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자신의 면역력과 폐 기능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추운 겨울 비염 환자들의 고통을 덜 수 있는 길이 바로 폐 치료에 있다. 도움말 제공 : 편강한의원 서초점 이아라 원장 * 자료 제공 : 편강한의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비염을 치료하려면? 비염의 치료는 환자의 체질과 기타 합병증 여부 등을 종합해 실시하게 된다. 비염 치료의 큰 축은 면역력 회복으로, 이에 ‘폐’가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한의학에서는 간심비폐신(肝心脾肺腎)의 오장이 서로 평등하다고 본다. 각 장기를 몸 전체 지분을 20%씩 보유한 5대 주주로 비유할 수 있다. 하지만 환자들을 치료하고 임상 결과를 훑어본 결과, 다섯 가지 가운데 폐가 으뜸 장부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폐는 인체 면역력을 책임지는 편도선과 코와 연결되어, 폐가 강화되면 면역식별력이 높아지고 코의 면역성 과민 반응인 비염 역시 좋아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양방과의 협진을 통해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인자를 확인하고, 유발 인자에 대한 노출을 가급적 피하는 것도 알레르기 비염 환자를 위한 생활 관리법이다. 몸의 기능, 양기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좋고 공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폐를 강화하는 치료를 받고, 알레르기 항원 인자 즉 유발인자 노출을 피하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비염 치료는 가능하다. 만성 비염으로 인한 코막힘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자신의 면역력과 폐 기능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추운 겨울 비염 환자들의 고통을 덜 수 있는 길이 바로 폐 치료에 있다. 도움말 제공 : 편강한의원 서초점 이아라 원장 * 자료 제공 : 편강한의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