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제공 : 편강한의원
건선치료 본인의 노력이 중요하다
피부에서 벗겨도 벗겨도 하얀 각질이 일어난다면 피부건조증이나 면역력 약화로 오는 난치성 피부질환인 건선일 가능성이 크다. 건조한 찬바람이 부는 겨울철엔 건선 피부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건선(乾癬)이란 까슬까슬한 작은 좁쌀 같은 붉은 발진이 버짐처럼 퍼지고, 그 위에 각질이 겹겹이 쌓이는 만성 피부염이다. 마른버짐이라고도 불리며 수분 부족이 원인인 만큼 건조하고 추운 날씨는 건선에 치명적이다.
건선은 주로 두피, 팔꿈치, 무릎, 엉덩이 등의 부위에 잘 생기며 치료가 어렵고 재발하는 특징이 있다. 건선이 만성화되면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평생 관리해야 하는 난치성 피부질환이 될 수 있다.
건선은 피부질환이기 때문에 피부의 문제로 발병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감기, 인후염, 편도선염 등 바이러스 감염 때문에 발병하거나 증상이 악화된다. 신체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에 의해 감기에 걸리기 쉬운데, 이때 신체 내부로 침투한 바이러스가 건선에도 영향을 준다.
한의학에서는 건선이 피부질환이라고 해서 단순히 피부에 나타나는 문제로만 생각하면 안 된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원인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감기에 걸린 상태 등 신체 면역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건강 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또, 한의학에서는 ‘폐주피모(肺主皮毛)’라 하여 피부의 건강을 주관하는 것은 ‘폐’라고 보기 때문에 호흡기계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력이 저하되고 피부질환도 발생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건선치료를 위해서는 폐에 쌓인 열을 내려 면역력을 향상해야 한다.
오장의 으뜸인 폐를 강화하면 피부의 닫혔던 털구멍과 땀구멍이 열리고 피부 곳곳에 쌓인 노폐물과 독소가 배출되면서 면역력이 강화된다.
건선치료는 스트레스 관리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건선은 전염성은 없지만, 피부에 발진이 붉게 퍼져 외관상의 문제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또, 건선치료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재발이 잦기 때문에 환자들의 스트레스가 클 수 있다.
건선 환자는 육식이나 기름진 음식을 줄이고 채소와 과일을 통해 인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를 섭취해야 한다. 약간 땀 흘릴 정도의 걷기나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으로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것도 좋고, 하루 20~30분 정도 일광욕을 하는 것도 건선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도움말: 편강한의원 명동점 박수은 원장>
* 자료 제공 : 편강한의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