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기업PR

‘2013 LED TECH KOREA & OPTICAL EXPO’ 21일 개막

등록 2013-08-12 16:21

* 자료 제공 : 국제 LED 생산기자재전
* 자료 제공 : 국제 LED 생산기자재전
국내 LED & OPTICAL 시장 방향 한 눈에 볼 수 있어
백열등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추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08년 12월 백열전구 퇴출 계획을 발표하고 2014년 1월부터 국내 시장에서 백열전구의 생산과 수입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백열전구의 대체재인 LED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일본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도 백열등 퇴출에 동참하고 있어서 해외시장의 전망도 밝은 편이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 LED 시장의 성과와 향후 시장 방향을 예측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디지털기술이 주관하는 ‘2013 LED TECH KOREA & OPTICAL EXPO(국제 LED 생산기자재전 & 국제 광전자 산업전)’이 오는 8월 21일부터 23일까지 KINTEX 국제전시장 4, 5 HALL에서 개최된다.

이 전시회는 국내 최초로 단기간 내 국제인증전시회로 발돋움하며 빠른 성장을 보이며, 280여 업체가 참가하고 850여 개 부스가 마련된 가운데 대규모로 진행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같은 장소에서 ‘2013 TOUCH PANEL KOREA & FLEXIBLE DISPLAY KOREA(2013 국제 터치 패널 산업전 & 국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산업전)’ 이 동시 개최될 예정이어서 시너지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전시품목은 LED 분야의 경우 LED 제조장비, LED Application, Module, 설계해석 툴, 소프트웨어, 검사/측정/시험/평가 장비, 부품/재료, 조명장치 등이며, OPTICAL 분야에서는 광학 측정 및 검사장비, 광학 기구 및 재료, 레이저 장비 및 소재가공, 계측 테스트/수리/디바이스, 부품소재/진공코팅 등이다.

주요 기술과 산업 동향에 대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세미나도 주목할 만하다. 부대행사로 진행되는 세미나는 ▲LED/OLED 조명 신기술 및 장기불황 극복을 위한 사업전략 세미나 ▲LED/OLED 최신 소재 개발 현황 및 적용 기술 세미나 ▲LED/OLED 최신 소재 개발 현황 및 적용 기술 세미나 ▲UV LED 응용 시장 전망 세미나 등으로, 관련산업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해줄 예정이다.

‘2013 LED TECH KOREA & OPTICAL EXPO’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국제 LED 생산기자재전: www.koreaLED.org, 국제 광전자 산업전: www.opticalexpo.org)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031-388-6311, FAX 031-388-6310) 및 이메일(led2100@naver.com)을 통한 문의도 가능하다.

* 자료 제공 : 국제 LED 생산기자재전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한겨레 인기기사>

박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이제 그만 병을 키우십시오
전두환 육사에 호쾌한 기부, 그러나 그것은 ‘빈틈’의 시작
삼성전자 등기이사 평균 보수 52억…직원의 75배
열대야로 잠을 잊는 그대에게 들려주는 ‘숙면 비법’
[화보] ‘피서’ 대신 ‘촛불’ 든 10만 시민 “박 대통령 사과하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