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위기의식에 강수 공권력 투입 명분 쌓기
노, 강경대응 충돌예고 경영 정상화에 먹구름
노, 강경대응 충돌예고 경영 정상화에 먹구름
쌍용자동차의 경영정상화에 더 짙은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노조의 공장점거 파업에 회사가 직장폐쇄 조처로 맞선 탓이다. 대치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채권단과 법원이 회생절차를 중단하고 청산 결정을 내리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쌍용차가 이날 직장폐쇄라는 ‘강수’를 내린 것은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노조가 지난 21일 파업에 들어간 뒤 지난 26일부터는 사무·관리직의 출근마저 저지하면서 회사의 운영이 총체적으로 파국에 들어갔다는 판단 때문이다. 회사 관계자는 “정부의 자동차 내수진작책을 이용해 이달에 내수·수출을 합쳐 5천대 이상 판매를 노렸으나 노조의 파업 때문에 1600대밖에 생산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쪽은 이날 직장폐쇄를 신고하는 동시에 노조에 점거 파업을 풀고 업무에 복귀할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우선 두세차례 퇴거 요청을 해서 명분을 쌓은 뒤에 경찰에 공권력 투입을 요청해 공장을 정상화시킨다는 계획이다. 공권력 투입은 회사가 정리해고 명단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오는 8일 이전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쪽은 “절대 물러나지 않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공권력 투입시기에 극한 충돌이 이뤄질 게 뻔하다.
충돌 끝에 큰 피해없이 공장이 다시 정상가동을 재개한다고 해도 쌍용차의 미래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조정은 말 그대로 회생계획안의 ‘전제조건’일 뿐이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애초 2646명을 정리한다는 계획이었는데 이미 1500여명이 넘게 희망퇴직을 신청했기 때문에 최종 인력감축 규모는 1112명으로 확정됐다. 8일 시작될 정리해고 과정 또한 상당히 길고 괴로운 작업이 될 것이다.
쌍용차는 그동안 구조조정 비용 1천억원과 신차 개발비 1500억원이 있으면 회사 정상화가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다고 밝혀왔으며 그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산업은행과 3300억원의 담보를 토대로 대출을 추진하고 있다.
결국 쌍용차가 살아남으려면 공장을 정상가동시킨 뒤에도 구조조정, 운영자금 확보, 신차(C200) 적기 투입 등 3가지 큰 과제가 남아 있는 셈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자동차공학과)는 “앞으로 남은 일정도 어느 하나 만만하게 넘을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