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한해 20만대 생산 체코공장 준공
현대자동차가 유럽에 완성차 생산공장을 세우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현대차는 24일(현지시각) 체코 오스트라바시 인근 노쇼비체에서 생산공장 준공식을 열었다. 현대차가 유럽 땅에 완성차 공장을 세운 것은 환율과 관세 부담을 덜면서 유럽인의 손으로 만든 가장 유럽적인 차로 정면 승부를 걸겠다는 의도다. 앞서 기아차는 2년여 전 현대차 체코공장에서 85㎞ 떨어진 슬로바키아에 생산공장을 세웠다.
모두 10억유로가 투자된 현대차 체코공장은 연산 20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주력 모델은 준중형급인 ‘아이서티’(i30)이다. 내년에는 시설을 확충해 30만대 규모까지 생산을 늘릴 계획이다. 정몽구 회장을 대신해 현대차 대표로 준공식에 참석한 정의선 부회장은 축사에서 “체코공장은 현대차의 글로벌 생산체제 구축에서 핵심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체코공장을 준공하면서 독일 오펜바흐에 있는 현대차 유럽법인(HME)과 뤼셀스하임에 위치한 디자인·연구센터, 유럽 각국에 설립된 판매법인과 함께 유럽에서 일관된 경영시스템을 구축했다. 유럽인 취향에 맞는 차를 현지에서 개발해 만들고 판매할 수 있는 체제를 완성한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가동한 현대차 체코공장은 그동안 8만대의 아이서티(i30)를 생산해, 이 가운데 90% 이상을 유럽시장에 판매했다. 연말에는 기아차의 소형 다목적차량(MPV) 벤가도 생산을 시작한다. 국외 공장으로는 현대와 기아 차종이 병행 생산되는 첫번째 사례다. 국내에서는 기아차의 경차였던 비스토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생산했던 적이 있다. 체코공장은 또 내년 하반기에 현대차의 소형 다목적차량(프로젝트명 제이시)도 생산한다.
체코는 폴크스바겐 그룹의 계열사인 스코다로 유명한 자동차 생산 강국이다. 2004년 유럽연합에 가입하면서 유럽 생산기지로서의 매력이 더욱 부각됐다. 도요타·푸조시트로앵이 합작한 연산 30만대 생산 규모의 공장이 2005년 들어선 데 이어 지난해 현대차 체코공장도 가동을 시작하면서 중부 유럽의 자동차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체코는 관세 절감뿐 아니라 서유럽과 러시아를 잇는 동유럽 한가운데 위치해 동서 시장을 모두 공략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지닌 유럽 공략의 최적지”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정 부회장은 “체코에 이어 러시아·브라질 공장까지 완공되면 2012년까지 글로벌 연생산 650만대 체제를 갖추게 돼 앞으로 생산능력 확충보다는 소형차부터 차량을 고급화하는 데 몰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쇼비체/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