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남은 쌍용자동차 매각 일정
마힌드라, ‘기술 낮은 신흥국 기업’ 상하이차와 닮은꼴
최고경영자 “함께 기술개발…‘먹튀’ 우려 안해도 돼”
최고경영자 “함께 기술개발…‘먹튀’ 우려 안해도 돼”
쌍용자동차 우선 인수협상대상자로 인도의 마힌드라&마힌드라(이하 마힌드라)가 선정된 것은 ‘고육지책’에 가깝다는 평가다. 애초 가장 강력한 인수후보였던 르노·닛산이 입찰을 포기함에 따라 한때 유찰설까지 흘러나왔지만, 다시 절차를 밟더라도 좋은 결과가 나오기 힘들다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마힌드라는 비교적 탄탄한 자본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마힌드라가 제안서에 적어낸 것으로 알려진 4억8000만달러(5600억원)는 쌍용차 부채를 현시점에서 일괄 변제할 경우 필요한 6000억원에 거의 근접한다. 시장에서 예상하던 3000억~4000억원을 훨씬 뛰어넘는 액수다. 채권단 안팎에서는 같이 최종입찰에 응한 인도 루이아그룹이나, 유일한 국내 업체인 영안모자보다도 훨씬 많은 액수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가톨릭대 김기찬 교수(경영학)는 “마힌드라의 경영진들이 모두 미국에서 공부한 사람들로 사고가 글로벌화돼 있어서 상당히 합리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쌍용차를 회생시킬 수 있는 경영능력이나 자본력은 충분해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마힌드라는 ‘상하이차의 그림자’라는 매우 큰 약점을 안고 있다. 상하이차는 쌍용차 인수 당시 화려한 투자계획을 발표했지만 결국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고 ‘핵심기술만 빼먹고 튄다’는 논란에 여태껏 휩싸여 있다. 마힌드라도 기술력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신흥국의 자동차 업체라는 점에서 상하이차와 조건이 비슷하다. ‘기술 먹튀’ 논란이 재발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는 얘기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자동차공학)는 “기술이 탄탄하지 않은 외국계로 다시 넘어가는 데 대한 우려가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쌍용차로서는 상하이차보다 더 유리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상하이차는 중국 내수판매용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해 쌍용차의 기술을 노렸지만 마힌드라는 쌍용차를 세계시장 진출의 발판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인수 목적이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마힌드라는 미국이나 유럽 등에 스포츠실용차를 수출하려고 시도했지만 번번이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등 기술력 때문에 발목이 잡혔다. 때문에 이미 유로4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쌍용차의 엔진기술에 온전히 기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하이차는 제너럴모터스(GM), 폴크스바겐 등 세계적인 업체와 합작하고 있어 쌍용차 인수를 위한 접근방법이 완전히 다를 수밖에 없었다. 안수웅 엘아이지(LIG)투자증권 센터장은 “마힌드라 선정에는 인도기업인 타타가 대우상용차를 인수한 뒤 경영을 잘해 오고 있다는 점도 감안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힌드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아난드 마힌드라 부회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마힌드라는 기술력이 강한 회사로 쌍용차 인수는 기술을 이전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함께 개발하고 또 우리 기술을 이전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른바 ‘먹튀’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인수 뒤 투자계획에 대해 “쌍용차 경영진이 내놓은 제품 투자계획이 있는데 이를 철저하게 지지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