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자동차 기술 어디까지 왔나
구글차 22만㎞ 주행 성공
추돌방지·자동주차 등
상용화 기술 대부분 개발
10~20년뒤 도로 달릴 듯
사고대비 법안 보완해야
구글차 22만㎞ 주행 성공
추돌방지·자동주차 등
상용화 기술 대부분 개발
10~20년뒤 도로 달릴 듯
사고대비 법안 보완해야
“어서 오십시오. 어디로 갈까요.” “회사로.” “네, 알겠습니다.”
운전기사와 사장님 간 대화가 아니다. 현재 한창 개발중인 무인자동차가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상용화됐을때 아침 주차장에서 자주 오갈 대화다.
운전자가 조작을 하지 않고 저절로 움직이는 자동차가 점점 눈앞에 다가오고 있다. 자동차업체를 중심으로 개발이 가속화되던 이 분야에 구글이라는 초대형 인터넷업체가 뛰어들면서 기술적으로 극적인 진보가 일어나고 있다. 아직 실용화까지는 10~20년이 남았다는 평가지만 투자와 개발 속도가 한층 빨라진 것만은 분명하다.
■ 구글차, 22만4000㎞ 주행 성공 구글은 최근 독자 개발한 무인자동차가 14만마일(22만4000㎞) 주행에 성공했다고 블로그를 통해 최근 밝혔다. 7대가 각각 나뉘어 달린 거리이긴 하지만 이처럼 대규모 무인자동차 실험은 사상 처음이다. 이 거리를 달리는 동안 일어난 사고는 단 한건으로, 그것도 다른 차가 빨간불에 서있는 무인자동차를 뒤에서 들이받은 사고였다. 22만4000㎞라면 국내 자동차가 1년에 평균 2만㎞를 달리는 것을 고려하면, 11년 동안 큰 사고없이 운행을 했다는 말이다.
구글의 무인자동차는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차량인 프리우스를 개조한 것으로, 360도 스캔이 가능한 레이저레이더(라이더)와 전방 3개, 후방 1개의 레이더,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를 달고 있다. 라이더가 주변 60여m를 스캔하며 실시간 3차원 지도를 만들고 비디오 카메라 등 다양한 장치의 도움을 받아 시시각각 변하는 주위의 상황을 점검하며 달린다. 위급상황에는 운전자가 좌석 옆의 빨간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만들었는데, 구글은 빨간 버튼을 누를 일은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비슷한 시기에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의 라울 로자스 교수팀도 폴크스바겐 파사트를 개조한 무인자동차를 공개했다. 구글과 거의 비슷한 성능을 가진 이 차량 외에도 전세계 35개팀이 무인차량을 연구중이다.
국내에서는 현대·기아차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무인 자동차를 연구하고 있다. 올해에는 매년 열던 미래자동차기술공모전을 무인자동차 경진대회로 확대 시행하며, 거액의 상금을 걸고 무인자동차 연구인력 양성에 나섰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인지로봇연구단 강성철 박사팀도 지난해 말 도심에서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기자동차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기계가 운전하는게 더 안전하다? 무인차량 실용화를 위한 기술은 거의 대부분 개발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차와 거리를 맞추며 정해진 속도로 달리는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 앞차가 정지했을 경우 자동으로 정지하는 추돌방지 시스템, 핸들을 기계가 조작해 주차를 돕는 자동주차장치 등 최근 잇따라 실제 차량에 적용된 사양들은 초보적인 자동운전장치라고 할 수 있다. 무인자동차는 이 모든 기술을 집약하기만 하면 된다.
무인자동차의 이점은 여러가지다. 우선 운전자가 운전에 시간을 뺏기지 않고 다른 활동을 할 수 있게 돕는다. 운전을 하기 힘든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도 큰 구실을 할 수 있다. 기계가 모든 것을 통제하기 때문에 연료 소비도 최적화돼,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그린 기술’이기도 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고 감소다. 세계보건기구(WHO) 추산으로 한해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은 100만명이 넘는데, 대부분 사고가 인간의 부주의로 인해 일어나는 사고다. 라울 박사는 “전방만 볼 수 있는 인간과 달리 기계는 더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받아들일 수도 있고, 졸음이나 음주로 인한 주의 흐트러짐도 없다”며 “미래에는 안전을 위해 인간이 운전하는 것이 금지될 것”이라고 공언했다.
하지만 무인자동차가 당장 상용화되기에는 아직 많은 기술적, 제도적 장애가 남아있다. 무인자동차가 사고를 냈을때 그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나 자동차를 만든 회사에 있나 같은 복잡한 법적 문제도 도입에 걸림돌이다. 전창목 과학기술연구원 박사는“아직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지만, 공항이나 대규모 산업시설, 대학 캠퍼스 등 교통이 혼잡하지 않은 정형화된 환경에서는 승객과 물자를 이송하는 역할은 바로 실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김미화 KBS블랙리스트
모든 것 밝히겠다
■ ‘강남몽’ 표절의혹…황석영 입 열다
■ 안중근 사형집행 뒤 일제, 기생 축하술판
■ ‘민주 표적설’ 부채질 하는 한나라
■ ‘차량폭파·방화 훈련중’ UDT동지회 ‘G20 시위’ 비상
■ ‘강남몽’ 표절의혹…황석영 입 열다
■ 안중근 사형집행 뒤 일제, 기생 축하술판
■ ‘민주 표적설’ 부채질 하는 한나라
■ ‘차량폭파·방화 훈련중’ UDT동지회 ‘G20 시위’ 비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