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생산 적은 차 대상…현대·기아·쌍용차 판매차질 불가피
남미 최대 자동차 시장인 브라질 정부가 지난해 말 현지 생산 비율이 낮은 자동차에 대해 관세를 대폭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지 공장이 없는 현대·기아자동차와 쌍용자동차는 판매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질 정부는 지난해 12월15일부터 브라질산 부품 의무사용 비율 등을 지키지 않거나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낮은 자동차 회사에 대해 관세율을 30%포인트 인상했다. 애초 자동차에 적용되는 공산품 관세율은 배기량에 따라 7~25% 정도였다.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혼다, 닛산, 푸조, 르노, 폴크스바겐 등 현지 생산체제를 갖춘 18개 회사는 관세 인상 대상에서 빠졌지만, 현지 생산거점이 없는 국내 완성차 회사들은 크게 오른 관세율 적용이 불가피하다. 브라질 정부가 제시한 구체적인 기준은 브라질산 부품 65% 의무사용과 11개 생산공정 중 최소 6개 이상 현지화, 매출액의 0.5% 이상 연구개발 투자 등이다.
현지 전문가들은 2007년 4만대 수준에서 지난해 15만2000대로 판매를 늘려가고 있는 현대·기아차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그나마 현대차는 오는 9월부터 현지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어서 관세율 인상을 피해 갈 수 있지만 현지 공장 건설 계획이 없는 기아차는 불리한 환경에 설 수밖에 없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브라질 정부의 이번 결정이 아르헨티나나 칠레 등 인접 국가로 확산될 가능성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