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도 시간당 1만원에 빌려
보험료·연료비 따로 안내고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이용
보험료·연료비 따로 안내고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이용
‘카셰어링’(Car-sharing)이 인기몰이 중이다. 차를 빌려 탄다는 점에서 렌터카와 다르지 않지만, 시내와 주택가 근처에서 시간 단위로 빌려탈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12일 카셰어링 업계의 말을 종합하면, 국내 최대 카셰어링 업체인 그린카의 서비스 이용자 수는 지난해 1월 9000여명에서 12월 1만8000여명으로 늘었고, 지난 한 해 이용자는 16만6600여명이었다. 그린카 쪽은 올해 이용자가 30만명을 넘길 것으로 본다. 그린카의 회원은 사업 개시 2년 만이던 지난해 10월 10만명을 넘어섰고, 지난달 말에는 15만명을 돌파했다.
무엇보다 값싸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소비자들을 끌어모은다. 국산 경차나 준중형 차량은 시간당 4000~6000원이면 이용할 수 있다. 수입차도 1만원대면 빌려 탈 수 있다. 여기에 차량을 반납할 때 이용거리에 따라 1㎞당 170~190원씩 운행비를 내면 된다. 단기 렌터카와 달리 보험료·연료비는 따로 내지 않는다.
절차도 간략하다. 회원 가입 뒤 스마트폰을 활용해 언제든 빌려 쓰고 돌려주면 된다. 렌터카처럼 지점을 찾아가 운전면허증을 제시하고 계약서를 쓸 일은 없다. 스마트폰으로 인근 주차장에 있는 차량을 검색해 빌려 쓰면 된다. 그린카는 전국 27개 도시 700여 주차장에 1300여대의 차량을 준비해두고 있다. 서울 지역엔 주차장이 400여곳이다. 또다른 카셰어링 업체인 쏘카·유카·씨티카 등도 서울 지역에 300여 주차장을 운영 중이다.
번거로운 점이라면 주차공간 문제로 차량을 빌린 곳에 반납해야 하고, 렌터카에 견줘 원하는 차종을 이용할 수 있는 확률이 낮은 편이다. 그럼에도 저렴하고 편리한 이용방법 때문에 택시와 경쟁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카셰어링 시장이 더욱 커지면 주차공간 문제와 차종의 한계 등도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대기업 렌터카 업체들조차 카셰어링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국내 최대 업체인 그린카의 지분 49%를 지난해 케이티(KT)렌탈이 인수했다. 케이티렌탈은 케이티금호렌터카의 모기업이다. 그린카는 올 연말까지 차량 규모를 3000여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린카와 별도로 케이티렌탈은 케이티금호렌터카 카셰어링도 201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2위 렌터카 업체인 에이제이(AJ)렌터카는 지난해 별도 자회사 설립 없이 직접 카셰어링 사업에 나섰고, 엘지(LG)그룹의 엘지 씨엔에스(CNS)는 지난해 씨티카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김진철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