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셰어링 서비스는 업체 소유의 차량이지만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유’를 기반으로 한다. ‘협력적 소비’가 없으면 서비스가 유지되기 어렵다.
김지만(38) 쏘카 대표 역시 협력적 소비를 강조했다. 단순히 차를 빌려 타는 게 아니라 ‘함께 타는 차’라는 인식이 깔려야 지속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반납 시간 준수와 차량 상태 유지 등 규칙을 지키는 일이 필수적인데, 자발적인 협조 없이 벌금 등 강제 수단으로는 운영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공유의식이 서비스 유지와 성장의 기본 요소라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를 운영하면서 서비스를 평가하고, 차종까지 투표로 결정하는 등 ‘우리 차’라는 공감대를 갖게 하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선순환도 공유의식 속에서 나온다. 김 대표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자발적 공유의식을 바탕으로 덩치가 커지면 인프라가 늘어나고, 이를 바탕으로 편도 서비스 정착이나 전기차 도입 등 다양한 선순환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카셰어링 서비스는 아직 시작 단계라 편도 운행이 어려운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한 상태인데, ‘카셰어링 서비스도 이용할 만하다’는 평가가 확산되면 회원 수 증가 및 거점 다양화, 차량 운행 대수 증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규모의 경제 실현이 안 돼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들도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는 셈이다.
협력적 소비가 무너져 생기는 부작용도 쉽게 볼 수 있다. 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는 프랑스의 벨리브나 오토리브 역시 고의 파손이나 지저분한 뒤처리 등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협력적 소비가 무너지면 ‘깨진 유리창 이론’처럼 너도나도 규칙을 지키지 않게 되고, 이용자가 떠나면서 서비스 자체가 무너진다.
김 대표는 “쏘카는 지난 8월에는 미국 비정부기구(NGO) 비랩(B Lab)으로부터 지역사회 기여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얻으며 사회적기업 인증인 ‘비(B)코퍼레이션’도 받았는데, 앞으로 카셰어링 서비스가 정착되면 하루에 90%는 서 있는 차량에서 생기는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새로운 자동차 문화를 만드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승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