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기기변경 늘고 번호이동 줄고…50만원대 이상 ‘고가폰’ 인기

등록 2006-04-03 18:26수정 2006-04-03 18:46

휴대전화 매장 매출 20~30% 늘어…불법보조금 7~15만원 여전히 있어
원 소속사에서 휴대전화만 바꿔요=이번 보조금 정책은 번호이동을 하지 않아도 하나의 이통사에서 18개월 이상 사용자라면 5만~21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 교체 중 상당 비중이 기기변경이다.

에스케이텔레콤의 경우 보조금 시행 4일 동안 11만3214명이 기기변경을 했다. 하루 평균 2만8천여명으로 보조금 시행 전 평균 3천~4천건에서 대폭 늘어난 것이다. 반면 번호이동은 평균 4천여건으로 7천~8천건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신규 가입은 평균 5천건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케이티에프 역시 같은 기간 기기변경은 3배 가량 늘어난 반면, 번호이동은 80~90% 가량 줄었다. 4일 동안 기기변경은 2만2800명, 번호이동은 2만2150명, 신규가입은 2만1500명이었다.

반면 엘지텔레콤은 보조금 시행 이전의 모습과 비슷하다. 기기변경이 평균 800여건, 번호이동은 3천여건으로 나타났다. 업계 전문가들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월 평균이용금액 3만~7만원 이용자들의 보조금 혜택이 다른 회사에 비해 낮아 기기변경 대신 번호이동 등을 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왕 바꾸는 것 비싼 걸로=애초 보조금 정책이 시행되면서 전문가들은 휴대전화 소비형태가 저가와 고가의 양극화 현상을 예상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50만원대 이상 고가 휴대전화 비중이 크게 늘어난 반면 저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케이텔레콤의 경우 50만원대 이상 고가 휴대전화 판매비중이 보조금 정책 시행 이전 31.5%에서 45.5%로 껑충 뛰었다. 특히 60만원대 이상 제품이 8.3%에서 13.7%로 크게 늘어났다. 반면 30만원대 미만 저가 휴대전화는 50.5%에서 28.5%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케이티에프는 50만원 이상 고가 휴대전화가 23%에서 40%로 올랐고, 30만원대 저가 휴대전화는 77%에서 60%로 내려갔다. 엘지텔레콤 역시 고가 제품의 판매비중이 15.4%에서 33.9%로 커졌고 저가 제품은 42.4%에서 17.3%로 급감했다.

전반적으로 보조금 합법화 이전에는 불법 보조금을 통해 ‘공짜전화’ 등을 찾는 번호이동 소비자가 많았지만, 그 이후에는 자신의 휴대전화를 고기능-최신형으로 옮기려는 기기변경 이용자들이 주를 이뤘다.

잠잠하지만 불법 보조금도 있죠=신규 가입 또는 번호이동시 에스케이텔레콤과 케이티에프는 7만~9만원, 엘지텔레콤은 12만~15만원 정도의 불법 보조금이 뿌려지고 있었다.

판매상 김아무개(27)씨은 “번호 이동시 에스케이텔레콤은 5만5천원, 케이티에프와 엘지텔레콤의 3만원 가량의 가입비가 있다”며 “이러한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불법 보조금이 사용된다”고 밝혔다. 그는 “불법 보조금이 과거에 비해 많이 낮아졌고 일률적으로 바뀌었다”며 “기기변경과 번호이동이 판매점에서 남는 이문은 똑같아 가급적이면 기기변경을 우선 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삼성전자와 에스케이텔레콤간의 보조금 분담 문제가 불거졌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는 없었다. 특히 삼성전자의 슬림슬라이드폰(SCH-V840,SPH-V8400) 등은 고가 열풍을 등에 업고 쉽게 주인을 찾는 모습이었다.

글·사진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