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가장 많이 쓰이는 슈퍼마켓 상호는 ‘현대’

등록 2006-07-17 09:30

지역명 중에서는 '‘서울’이 가장 많아
‘삼성’, ‘대우’ 등 대기업명도 인기

'우리나라에 슈퍼마켓은 과연 몇 개나 있을까. 그리고 수많은 슈퍼마켓의 상호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무엇일까'

평소 집 근처 슈퍼마켓을 이용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품어봤음 직한 의문들이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전국 슈퍼마켓의 개수는 약 14만5천개로 추정되며 슈퍼마켓 상호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현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T&G가 자사의 전국 14개 지역본부 산하 160개 지점과 거래하고 있는 지정 담배소매상 숫자를 토대로 추정한 데 따른 것이다.

KT&G는 통상 담배가 슈퍼마켓과 같은 소매업종에서 판매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사의 담배소매상 숫자인 14만4천300개가 전국 슈퍼마켓 개수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슈퍼마켓 중 거리 제한에 걸려 담배소매상으로 지정되지 못한 경우와 담배소매상 중 슈퍼마켓이 아닌 경우는 동등하다고 가정했다.

상호 분석의 경우 이들 14만4천300개의 담배소매상 중 가판점과 매표소 등 상호가 없는 점포 6천776개와 가족마트, GS25 등 대기업 운영 편의점 8천969개를 제외한 12만8천584개 업체를 대상으로 했다.


◇'현대'슈퍼마켓 전국에 1천880개

KT&G의 분석에 따르면 개인 슈퍼마켓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상호는 '현대'로 조사 대상의 1.4%인 1천880개 업체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슈퍼마켓 1천개 중 14개는 '현대'를 상호로 쓰고 있는 셈이다.

'우리'가 1천370개로 2위를 차지했고 '제일' 1천38개, '그린' 946개, '중앙' 920개, '대성' 913개, '서울' 625개, '삼성' 600개, '럭키' 593개, '하나' 467개 등이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0위권 밖에서는 '마을'과 '한아름', '형제', '삼거리', '태양', '만물' 등이 슈퍼마켓 상호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명은 '서울'이 제일 많아

지역을 권역별로 나눠 상호 사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을 사용한 곳이 가장 많았는데 옛 이름인 '한양', '한성', '경성' 등을 포함할 경우 모두 1천231개 슈퍼마켓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과 '대구', '경남', '경북' 등 영남권 도시 및 지역을 상호로 사용한 곳이 1천123개로 그 뒤를 이었고, '충청' 555개, '경인' 361개, '호남' 290개, '강원' 157개, '제주' 81개로 집계됐다.

'함경'과 '평안', '황해' 등 이북 5도 지역명을 상호로 사용한 곳은 72개였다.

◇대기업 인기는 '현대'>'삼성'>'대우' 순(?)

인지도가 높은 국내 대기업명을 빌려 일종의 '후광'효과를 겨냥한 상호도 즐겨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인기있는 대기업은 전체 1위인 '현대'가 차지했고 국내 재계순위 1위인 '삼성'의 이름을 빌린 곳은 600개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주공'이 547개, '동아' 343개, '롯데' 317개, '동양' 315개, '우성' 276개 등이었고 한때 재계서열 1위에 올랐었던 '대우'는 303개, '대림' 265개, '동원' 256개, '농심' 226개 등이었다.

'주공', '동아', '우성', '대림' 등 유명 건설사 이름을 딴 슈퍼마켓은 이들 건설회사가 지은 아파트 상가 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 문을 연다 '24시 슈퍼'

숫자를 상호에 사용한 업체들의 경우 하루 종일 문을 열어 둔다는 의미의 '24시'가 251개로 가장 많았고 '24시'보다 더 오래 근무한다는 의미의 '25시'가 115개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88올림픽'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88'이 75개, '21세기' 62개, 1년 365일을 나타내는 '365'가 53개였다.

◇모방은 싫다..유일무이한 상호

모방이나 복제를 거부하고 전국에 단 하나밖에 없는 독창적인 상호를 사용하는 곳도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다아는슈퍼', '또오리슈퍼', '저인망알뜰마트', '차례마트', '오보슈퍼', '일락슈퍼', '코코로', '타미송송' 등이 있었다.

박대한 기자 pdhis95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