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점의 증가 등 유통 구조가 급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최대 소비지 유통 경로는 정육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부는 한국육류수출입협회를 통해 축산물 유통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최종 소비지 시장에서 소비된 물량중 쇠고기의 경우 정육점을 통한 공급비율이 46.9%로 가장 높고 요식업체 25.7%, 대량 급식처 9.1%, 직매장 8.8%, 대형할인점 8.4% 등 순인 것으로 추정됐다고 7일 밝혔다.
돼지고기도 정육점이 41.2%로 가장 높고 요식업체 21.7%, 대량 급식처 13.2%, 대형 할인점 7.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비해 닭고기는 요식업체가 37.0%로 가장 높고 대량급식처 30.5%, 정육점 20.5%, 대형 할인점 11.7% 등 순이었다.
농림부 관계자는 "농가, 가축시장 등 표본 811곳의 유통경로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물량 소비량 점유율을 추정한 것"이라며 "앞으로 주기적인 실태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 사육 농가들이 가축을 내다 파는 생축 유통시장에서 경로별 물량 점유율은 닭의 경우 계열업체가 80.0%로 가장 높고 중간상인이 17.7%로 그 뒤를 이었으며 돼지는 육가공공장 58.7%, 산지조합 22.1% 순이고 한우는 중간상인이 40.0%로 가장 높고 산지조합이 29.7%였다.
경수현 기자 eva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