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일적 유통시장 구조 ‘공멸’ 부를 수도
“대형마트 위주의 획일화된 유통시장은 유통업이나 제조업 모두에게 재앙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대형마트 위주로 유통시장이 재편되면, 국내 중소 제조업의 판로는 더욱 축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조업계가 살아남으려면 대형마트에서 취급하지 않는 다양한 틈새상품을 개발해 유통시켜야 하지만 중소 유통업체마저 고사 위기에 놓여 있어 전망이 밝지 못하다. 애초 30만명당 1개 꼴이던 대형마트의 출점 기준이 이제는 7만~8만명당 1개 꼴로 군 단위까지 파고들고 있는 탓이다.
이런 상황은 대형마트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대형마트가 성숙기를 지나 포화 상태로 접어든 상황이어서 ‘외형 경쟁’을 위한 무리한 출점은 대형마트에 부메랑이 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형마트들이 내실 경쟁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한다. 또 외형 경쟁이 계속된다면 ‘출점 제한’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그래야 지역별로 다양한 상품이 만들어지고 유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도 출점 제한 입법 추진되고 있다. 이상민 의원(열린우리당)은 지난 4월 대형마트 출점 제한을 뼈대로 하는 ‘대규모점포 사업활동조정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발의한 상태다. 다만 중앙정부 차원의 획일적 규제보다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산업과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처리하는 방식이 좋다는 게 전문가들 진단이다.
양승룡 고려대 교수는 “유통시장이 짧은 시간 안에 대형마트 위주로 급팽창하면서 다양성이 사라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지역별로 다양한 상품을 만드는 제조업과 이를 유통시킬 작은 유통업체들이 많이 생겨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형마트 출점 제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성곤 기자 c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