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학교급식에 필요한 친환경우리농산물을 독점적으로 공급해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구조를 왜곡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일 오후 제주시 제주농어업인회관 강당에서 열린 친환경우리농산물학교급식 제주연대 창립 3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김기홍 제주도친환경농업단체연합회 사무국장은 토론자로 나서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올해 친환경우리농산물 학교급식 시범학교학생의 60%에 대해 친환경농산물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제주시농협이 친환경농가가 아니라 제주시농협 친환경작목반을 통해 친환경농산물을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며 "2007년도에 계획대로 친환경우리농산물 학교급식이 도내에서 전면적으로 실시된다면 이러한 농협의 독과점이 친환경급식사업을 이권사업으로 변질시킬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친환경우리농산물 학교급식은 도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공공사업"이라며 "학교급식에 필요한 친환경농산물 공급의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발제자로 나선 채칠성 친환경우리농산물학교급식 조례재정특별위원장은 "지역농업과의 연계성을 제고해 농가의 생산의욕을 고취하고, 유통마진을 줄여 생산원가를 보장해 생산자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해 유통시스템을 확립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정 학교급식법에 근거가 마련됐으므로 조례를 개정해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를 충분히 설립할 수 있다"며 "학교급식 음식재료 공급의 투명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하고 균일화된 품질 보장이 가능한 식품을 연중 공급하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기구의 설립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제주시농협 관계자는 "앞으로 친환경급식이 확대 실시된다면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와 같은 물류지원센터가 꼭 필요할 것"이라며 "올해는 도내 각급학교의 30%에서만 친환경급식이 실시돼 필요한 농산물이 얼마 되지 않아 하나로마트를 통해 공급하고 있으나 내년에 친환경급식이 확대 실시된다면 농산물에 대한 수요량이 늘어 도내 모든 친환경농가를 대상으로 농산물을 공급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현민 기자 hyunmin623@yna.co.kr (제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