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다노의 시슬림 디자인 바지(맨 왼쪽).
얇지만 편안하고 편리하게
지난해 의류에서 식료품, 정보통신 제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형성하며 소비재 시장을 이끌었던 ‘슬림’ 제품의 인기가 꺾이면서 그 자리를 ‘시(C)슬림’이 대신하고 있다. ‘시슬림’이란 지나친 슬림화 경쟁에 대한 반발로, 슬림만을 추구했던 소비자들이 편안함(comfort)과 편리함(convenience)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을 뜻한다.
그동안 선보였던 슬림 제품들은 지나치게 디자인이나 얇은 두께만을 강조하다 보니 가장 기본적인 편의성 부분을 많이 포기해야 했던 게 사실이다. 패션계가 ‘슬림 다이어트’ 일변도에서 벗어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지난해 히트상품이었던 스키니진의 열풍이 한풀 꺾이고, 대신 꽉 조이던 허리와 엉덩이, 허벅지에 여유를 준 슬림 스타일이 등장해 패션 리더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무릎 아래 일자로 떨어지는 ‘팝스키니’ 라인, 약간 넓게 벌어지는 ‘부츠컷’ 스타일 제품들도 잇따라 선보이며 올해 ‘시슬림’ 유행을 예고하고 있다. 여성 정장으로 애용되는 모직 바지도 지난해 가을부터 한층 넓어진 에이치(H)라인이 인기를 끌고 있다. 에이치라인 바지는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디자인으로 다리가 길고 날씬해 보이는 장점이 있다.
꽉 끼는 스키니진 퇴조…부츠컷 선봬
액정 큰 휴대폰·와이드 모니터 대세 ‘시슬림’ 경향이 가장 먼저 나타난 곳은 ‘슬림’ 유행을 가장 먼저 일으킨 휴대폰 시장이다. 엘지전자의 ‘샤인폰’은 슬림한 디자인에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 더욱 넓은 액정화면을 단 디자인을 선보여 호평을 얻었다. 기존의 슬라이드버튼 공간을 휠 방식으로 변화를 주었고, 휴대전화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화면을 넓게 구성한 것이다.
엘지전자 쪽은 앞으로 나올 제품도 전면 키패드를 없애는 대신 더욱 넓은 액정화면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휴대전화와 더불어 시슬림화 경향이 가장 두드러진 분야로는 피시(PC) 모니터 시장을 빼놓을 수 없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뒷부분의 부피가 큰 브라운관 모니터에서 얇고 평평한 엘시디(LCD) 모니터로 옮겨간 상태다. 업계 쪽은 특히 올해 피시 모니터 시장에선 넓은 화면의 ‘와이드’ 엘시디 모니터가 대세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기존 4 대 3 비율의 엘시디 모니터가 문서 작업이나 인터넷 서핑 등에 적합한 규격인 탓에 영화 감상이나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기능 구현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와이드 모니터가 인기를 끄는 가장 큰 이유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운영체제인 윈도 비스타 출시에 힘입은 바 크다. 윈도 비스타는 기존 모니터의 4 대 3 비율과 달리 16 대 10 화면비율에 최적화돼 있다. 지난해 말 윈도 비스타 프리미엄 모니터로 출시된 엘지 플래트론 L226WT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생각해 오른쪽 측면에 사이드 툴바가 적용되는 윈도 비스타의 16 대 10 비율을 적용한 와이드 모니터를 채택했다.
와이드 모니터는 한번에 에이(A)4 크기 문서 두 장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어 업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와이드 포맷의 영화를 4 대 3 모니터에서 볼 경우 필연적으로 화면 아래위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던 불편함에서 벗어나 원화면 그대로 생생하고 실감나는 동영상 감상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이우경 엘지전자 상무는 “세련된 디자인의 슬림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지가 이제 소비자 사용 편리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 같다”며 “디자인은 만족감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 부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영미 기자 youngmi@hani.co.kr
액정 큰 휴대폰·와이드 모니터 대세 ‘시슬림’ 경향이 가장 먼저 나타난 곳은 ‘슬림’ 유행을 가장 먼저 일으킨 휴대폰 시장이다. 엘지전자의 ‘샤인폰’은 슬림한 디자인에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 더욱 넓은 액정화면을 단 디자인을 선보여 호평을 얻었다. 기존의 슬라이드버튼 공간을 휠 방식으로 변화를 주었고, 휴대전화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화면을 넓게 구성한 것이다.
플래트론 와이드 LX26 모니터(위)
엘지전자 샤인폰(왼쪽)
이우경 엘지전자 상무는 “세련된 디자인의 슬림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지가 이제 소비자 사용 편리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 같다”며 “디자인은 만족감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 부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영미 기자 youngm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