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선물 시대별 변천사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주고받는 선물도 시대적 환경과 소득수준, 생활양식 등을 반영한다. 시대별로 우리네 인기 선물은 어떻게 바뀌어 왔을까? 신세계 유통연수원이 설을 앞두고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명절 선물 변천사를 정리했다.
■ 1950~60년대=한국전쟁 직후인 50년대에는 밀가루·쌀·계란·찹쌀·돼지고기·참기름 등 허기를 채울 수 있는 먹을거리가 가장 쓸모 있었다. 전후 복구가 이뤄진 60년대에는 설탕·비누·조미료·의류 등 일상생활용품이 선물로 애용됐는데, 특히 설탕은 당시 최고급 선물이었다.
■ 1970년대=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공산품 생산이 본격화하면서 식용유·치약·와이셔츠·가죽 제품·주류 등 기호품이 생필품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특히 커피세트가 설탕과 조미료 세트에 이어 백화점 선물 매출 3위에 오를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화장품과 여성용 속옷, 스타킹도 상당한 고급 선물로 평가됐다.
■ 1980년대=대중소비사회로 접어들면서 선물도 고급화·다양화하고, 상대방에게 알맞은 선물을 고르는 ‘맞춤형 선물’ 문화가 자리잡았다. 넥타이·스카프·지갑·벨트·양말 세트 등 신변잡화와, 정육세트·고급과일·통조림 등 규격 식품이 보편적인 선물로 떠올랐다.
■ 1990년대=고가 제품과 실용적인 중저가 제품으로 나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식품의 경우 지역특산물과 인삼·꿀·영지버섯 등 건강 기호식품의 수요가 급증했으며, 두고두고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신변 잡화가 강세를 보였다. 개인 취향대로 물건을 직접 고를 수 있는 상품권과 스포츠·레저용품도 선물 목록에 올랐다.
■ 2000년대=백화점 중심의 고가제품과 할인점 중심의 실용적인 중저가 선물세트로 나뉘는 양극화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와인·올리브유 등 ‘웰빙 상품’의 인기가 치솟고 있으며, 상품권은 가장 선호하는 선물로 자리를 굳히면서 카드식 디지털 상품권까지 나왔다. 재테크 금융상품이 선물로 등장한 것도 눈길을 끈다.
조일준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