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디지털 기기들 “누가 누가 오래 버티나”

등록 2008-10-20 18:57수정 2008-10-21 09:51

디지털 기기들  “누가 누가 오래 버티나”
디지털 기기들 “누가 누가 오래 버티나”
업체, 배터리 사용시간 늘리기 경쟁 치열
노트북, 한번 충전으로 10∼17시간 지속
전력 소비 적고 휴대 간편한 ‘넷북’ 인기
‘오래 버티는 놈만 살아남는다.’

디지털 기기 경쟁에서 지구력 경쟁이 뜨겁다. 기기들의 크기가 작아지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담게 되어 휴대성이 높아졌지만 사용시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림의 떡’이기 때문이다. 최근 나온 디지털 기기는 하나같이 긴 작동시간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달 초 한국휴렛팩커드는 충전 없이 17시간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 엘리트북6930p를 출시했다. 델코리아도 사용시간을 19시간까지 늘린 래티튜드 E6400 모델을 내놓았다. 추가 배터리를 이어서 사용해야 하며 전력 소모가 많은 동영상 등을 돌리지 않는 ‘실험실적 상황’이긴 하지만, 그동안 배터리 사용시간이 2~3시간에 불과해 불만이 컸던 노트북 사용자들에겐 무엇보다 반가운 소식이다. 제조업체들은 ‘태평양을 횡단하는 비행기 안에서 노트북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성능’이라고 홍보한다. 사용자들에겐 ‘10시간’이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번 충전해 10시간 안팎을 사용하게 되면 거추장스런 파워어댑터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소니와 삼성도 최근 배터리 하나로 10시간을 넘길 수 있는 제품을 내놓고 세계시장에서 경쟁을 시작했다.

최근 사용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미니노트북(넷북)은 값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아 휴대가 편리한 점이 돋보이지만, 배터리 사용시간이 늘어난 게 인기의 배경이다. 휴대성이 뛰어난 다기능의 기기도 전력이 끊기는 순간부터는 무거운 장식품이자 짐일 뿐이다. 최근 넷북은 한번 충전하면 4~7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 전문 리뷰잡지 <케이벤치> 김우영 기자는 “넷북은 전력를 적게 사용해, 외출시 충전기 없이 휴대할 수 있게 된 게 인기 비결 중 하나”라고 말했다.

노트북 피시의 사용시간 연장에는 배터리 용량 확대와 컴퓨터칩 제조기술 개선, 절전기술 채택이 동시에 작용했다. 배터리도 3셀·6셀 위주였으나 요즘엔 9셀 제품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를 크게 만들면 휴대성이 떨어지는 만큼, 사용시간 연장에는 저전력 회로 설계가 더 중요하다. 넷북에 탑재된 인텔의 중앙처리장치(CPU) 아톰 프로세서는 발열과 전력 사용을 크게 줄였다. 아톰의 소비전력은 종전 노트북에 쓰이는 칩 소비전력의 10%에 불과하다.

최근 제품들에 적용된 인텔의 센트리노2도 30% 절전성능을 내세운다. 모니터도 발광다이오드(LED)로 바꾸면, 전력 효율이 50% 가까이 개선된다. 하드디스크를 대신하는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도 사용전력을 크게 줄여준다. 국내 2차전지 제조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노트북 배터리 시장은 저용량과 고용량이 5대 5 비중이었으나 올해에는 4대 6으로 고용량 수요가 늘어났으며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사용시간 길어진 디지털 기기
사용시간 길어진 디지털 기기


MP3·PMP 배터리 한개로 24시간 거뜬

3분 충전 90분 재생 가능한 제품도 등장


(왼쪽부터)유경테크놀로지 빌립 X70 Vant Exp, 소니 NWZ-E430F, 코원시스템 D2
(왼쪽부터)유경테크놀로지 빌립 X70 Vant Exp, 소니 NWZ-E430F, 코원시스템 D2

휴대용 멀티미디어재생기(PMP)와 엠피3(MP3) 플레이어, 캠코더 등도 갈수록 사용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동하면서 동영상 감상 용도로 활용되는 피엠피의 최근 제품들은 동영상을 7~9시간 연속 재생할 수 있는 수준이다.

기존의 노트북으로 기껏 1~2편의 영화를 볼 수 있었다면, 이 제품들은 서너 편도 거뜬하다. 엠피3 플레이어 사용시간은 24시간을 넘긴 지 이미 오래고, 60시간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제품까지 나와 있다.

노트북과 달리 이들 제품은 하드디스크나 대형 화면이 필요 없고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사용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24시간을 넘겨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은 며칠씩 여행을 떠나도 끄떡없는 ‘변강쇠형’을 꿈꾼다.

일부 제품은 추가배터리 사용을 위해 제품 구조를 변경하기도 한다. 레인콤의 피엠피 아이리버 피플 P20은 9시간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지만, 착탈식 배터리 시스템을 통해 추가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해 18시간 연속 동영상을 즐길 수 있게 했다.

짧은 배터리 충전시간과 간편한 충전방식도 업체들이 내세우는 차별성이다. 소니 엠피3 플레이어 ‘NWZ-E430F’는 3분 충전으로 90분 재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휴렛팩커드의 노트북 엘리트북6930p은 90분 안에 배터리 최대 용량의 90%까지 충전할 수 있다는 점을 자랑하고 있다.

어댑터 없이 USB에 선을 연결해 충전하는 방식도 편의성이 높다. 코원시스템의 피엠피 D2는 음악재생 50시간에 USB포트로도 충전할 수 있다. 애플도 아이팟 터치에서 어댑터 대신 USB포트를 충전방식으로 채택했다.

구본권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