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과 관련한 소비자 불만 접수 사례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아이폰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를 보면, 지난해 4분기 94건에서 올해 1분기 299건, 2분기에는 491건으로 늘어났다. 접수 사례 가운데 57%가 품질·애프터서비스에 대한 불만이었다.
소비자원은 아이폰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늘어난 원인으로 애플의 독특한 애프터서비스 정책을 꼽았다. 아이폰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고시한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과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제품에 결함이 나타나면 단말기를 고쳐주지 않고, 다른 소비자가 애프터서비스 과정에서 맡긴 전화기를 고쳐 재조립한 ‘리퍼 폰’으로 교환해준다. 보증기간 1년 동안 ‘가벼운 손상’에는 무상으로 리퍼 폰을 받을 수 있지만, 그 밖에 소비자 부주의 등에는 손상 정도에 따라 29만400~83만1600원(아이폰3Gs 32기가바이트 제품 기준)을 내고 리퍼 폰을 받아야 한다. 애프터서비스는 아이폰의 국내 독점 공급사인 케이티(KT)의 자회사 ㈜모비션이 대행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원은 아이폰의 수리비가 지나치게 높다며 케이티 쪽에 수리비를 낮춰줄 것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최근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 이 사안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