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별 건강기능식품 판매 실적 및 점유율
“우리 비타민 제품은 천연 원료가 대부분이다.”(한국야쿠르트)
“천연 원료를 써도 화학적인 정제 과정을 거치는데 ‘천연’이라고 할 수 있나.”(제약업계)
최근 제약업체와 건강기능식품 판매를 시작한 한국야쿠르트 사이에서 비타민 제품의 ‘천연 성분’을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논쟁의 출발은 지난 4월 한국야쿠르트가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자회사 야쿠르트 나무(NAMUH)를 세워 내놓은 비타민 제품 ‘브이푸드’(V’food)에서 시작했다. 이 업체가 톱 모델 고현정을 내세운 브이푸드의 텔레비전 광고에서 “비타민은 천연 원료가 아니면 절대 안 먹는다”는 문구를 앞세우며 기존 제약업체의 합성 비타민과 구별하는 홍보 전략을 사용하자, 제약업계에서는 ‘우리 합성 비타민 제품이 나쁜 것으로 비쳐진다’며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천연원료를 사용하더라도 알약·캡슐 형태의 비타민 제품을 만들려면 화학적 처리과정이 필요한데, 제약업계에서는 ‘천연 원료’만 내세우는 한국야쿠르트의 마케팅이 과도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한국야쿠르트 쪽은 “주 원료인 비타민 추출 과정에서는 합성 성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천연 원료’라 말하는 건 문제될 게 없다”는 반응이다.
신규업체들 매출 급증세
방문판매 유통망도 강점
FTA발효땐 경쟁 더 심화
제품 다양해 규제 쉽잖아
비타민 천연-합성 논쟁도 ■ ‘기존 유통망’ 위협 클 듯 이런 ‘신경전’의 배경에는 식음료, 생활용품업체 등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에 대한 제약업계의 불편한 심기가 녹아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시장 매출은 평균 17% 늘어났으며, 이 가운데 비제약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단계·방문판매가 매출의 절반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따라 기능성과 안전성 등을 인정한 제품을 알약·분말·액상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든 것으로 ‘의약품’과는 구별된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건강기능식품 가운데 매출이 가장 높은 비타민은 일동제약, 유한양행 등 제약업체가 중심이 돼 판매했다. 그러나 지난 2002년 롯데제과가 건강기능식품 전문 브랜드인 ‘헬스원’을 만들어 진출한 뒤, 농심, 씨제이제일제당, 아모레퍼시픽, 웅진식품 등 대기업의 진출이 이어졌다. 제약업계가 이들 대기업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에 긴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탄탄한 유통망’ 때문이다. 한 대형제약사 관계자는 “우리가 그동안 쌓아온 연구개발 노하우 등을 고려하면 아직까지 일반 업체들의 점유율이 큰 의미를 둘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다만 강력한 유통망을 바탕으로 한 빠른 매출 증가세에 신경이 쓰이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건강기능식품 유통의 60% 이상은 방문판매·다단계·홈쇼핑 등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약국이나 편의점·대형마트 등에서 팔리는 비율은 10% 수준이다. 방문판매로 건강기능식품을 팔 때는 판매자가 4시간 동안 의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조건이 있는데, 제약업계에서는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를 들어 조건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 식약청, “틈 벌어진 기준 메워야”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조8000억원에 이른 데 이어 앞으로도 해마다 10%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될 경우 다국적 제약업체까지 이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커, 국내 제약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현재 8% 수준인 수입 건강기능식품의 수입 관세가 자유무역협정 뒤 내려가면 시장 규모는 더 커지겠지만 국내 제품이 경쟁에서 밀리게 될 것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예상한 바 있다. 제약업계는 건강기능식품의 가짓수와 제품구성이 다양해짐에 따라 관련 제도를 고쳐야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경쟁이 심화하면서 생각하지도 못한 제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박혜경 식약청 영양정책과장은 “비타민 제품의 ‘천연 첨가물’과 ‘합성 첨가물’ 논쟁의 경우, 관련 산업과 시장 환경이 변하면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본다”며 “업계의 제품 연구개발 노력을 반영하고 소비자의 혼선을 막을 수 있도록 성분 함량 기준 등을 조정하고, 식품위생법과 건강가정기본법 등 관련법도 개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
방문판매 유통망도 강점
FTA발효땐 경쟁 더 심화
제품 다양해 규제 쉽잖아
비타민 천연-합성 논쟁도 ■ ‘기존 유통망’ 위협 클 듯 이런 ‘신경전’의 배경에는 식음료, 생활용품업체 등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에 대한 제약업계의 불편한 심기가 녹아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시장 매출은 평균 17% 늘어났으며, 이 가운데 비제약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단계·방문판매가 매출의 절반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따라 기능성과 안전성 등을 인정한 제품을 알약·분말·액상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든 것으로 ‘의약품’과는 구별된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건강기능식품 가운데 매출이 가장 높은 비타민은 일동제약, 유한양행 등 제약업체가 중심이 돼 판매했다. 그러나 지난 2002년 롯데제과가 건강기능식품 전문 브랜드인 ‘헬스원’을 만들어 진출한 뒤, 농심, 씨제이제일제당, 아모레퍼시픽, 웅진식품 등 대기업의 진출이 이어졌다. 제약업계가 이들 대기업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에 긴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탄탄한 유통망’ 때문이다. 한 대형제약사 관계자는 “우리가 그동안 쌓아온 연구개발 노하우 등을 고려하면 아직까지 일반 업체들의 점유율이 큰 의미를 둘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다만 강력한 유통망을 바탕으로 한 빠른 매출 증가세에 신경이 쓰이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건강기능식품 유통의 60% 이상은 방문판매·다단계·홈쇼핑 등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약국이나 편의점·대형마트 등에서 팔리는 비율은 10% 수준이다. 방문판매로 건강기능식품을 팔 때는 판매자가 4시간 동안 의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조건이 있는데, 제약업계에서는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를 들어 조건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 식약청, “틈 벌어진 기준 메워야”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조8000억원에 이른 데 이어 앞으로도 해마다 10%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될 경우 다국적 제약업체까지 이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커, 국내 제약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현재 8% 수준인 수입 건강기능식품의 수입 관세가 자유무역협정 뒤 내려가면 시장 규모는 더 커지겠지만 국내 제품이 경쟁에서 밀리게 될 것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예상한 바 있다. 제약업계는 건강기능식품의 가짓수와 제품구성이 다양해짐에 따라 관련 제도를 고쳐야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경쟁이 심화하면서 생각하지도 못한 제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박혜경 식약청 영양정책과장은 “비타민 제품의 ‘천연 첨가물’과 ‘합성 첨가물’ 논쟁의 경우, 관련 산업과 시장 환경이 변하면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본다”며 “업계의 제품 연구개발 노력을 반영하고 소비자의 혼선을 막을 수 있도록 성분 함량 기준 등을 조정하고, 식품위생법과 건강가정기본법 등 관련법도 개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