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 난 ‘이마트 피자’처럼…
롯데마트가 매장 안에서 싼값에 프라이드치킨을 내놓는다. 이는 신세계 이마트에서 파는 ‘이마트 피자’와 비슷한 판매 전략으로, 이런 대형마트의 업태 확대는 이른바 ‘골목 상권 잠식 논란’을 더욱 확산시키며 영세 자영업자들의 반발을 부를 전망이다.
롯데마트는 9일부터 전국 82곳 매장에서 프라이드치킨 1마리(900g안팎)를 5000원에 파는 치킨 브랜드인 ‘통큰 치킨’을 내놓고 운영에 들어간다고 8일 밝혔다. 매장에서 직접 튀겨주는 통큰 치킨은 닭 한 마리에 1만6000원~1만7000원 수준인 치킨 전문점의 3분의 1 수준이며, 기존 대형마트에서 파는 값보다도 30~40% 싸다. 양도 치킨 전문점보다 20%가량 많다. 포장도 상자에 담지 않고 패스트푸드점 치킨처럼 큰 원형 통에 담아서 내놓는다.
롯데마트가 통큰 치킨을 내놓은 데에는 이마트 피자의 성공이 자극이 됐다. 실제로 이마트 피자는 고객을 대형마트로 불러모으기 위한 이른바 ‘미끼 상품’이었으나, 여러 논란에도 ‘싸고 맛있고 양도 많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예상 밖의 ‘대박’을 낸 바 있다. 이마트 피자와의 경쟁에 뒤늦게 뛰어든 롯데마트는 준비 기간 동안 수치화한 예측 판매량을 바탕으로 판매 6개월 전에 생닭·튀김가루·식용유 등을 주 단위로 대량으로 사들이는 방식으로 원가를 낮추기로 했다. 또 롯데마트 자체 이익률도 최소화했다.
그러나 롯데마트의 치킨 판매로 기존 치킨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익률까지 일정 부분 포기한 채, 재료 대량 구매로 값을 낮추고 양까지 늘리면서 뛰어드는 롯데마트에 대해 기존 프랜차이즈 치킨업계가 가격 대응을 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이날 오후 서울 영등포동8가 롯데마트 영등포점 앞에서는 치킨·오리외식산업협의회 소속 중소 치킨 가맹점 관계자와 가맹점주 등 30여명이 모여 롯데마트의 치킨 판매를 중단하라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