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소년들의 인터넷 유해정보 노출을 막는 방안으로 집 안 컴퓨터에 불법·유해정보 차단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것을 권하고 있으나, 이를 따르는 네티즌은 일부에 그친 것으로 밝혀졌다.
28일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지난 3월31일부터 6월10일까지 13살 이상 네티즌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터넷 이용 실태를 보면, 컴퓨터에 불법·유해정보 차단 장치를 했다는 응답자가 20.6%에 지나지 않는다. 10.7%는 초고속인터넷 부가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9.9%는 유해정보 차단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응답자 가운데 77.4%는 불법·유해정보에 노출되는 사실을 알고 있으나 차단 조치는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네티즌들이 우선적으로 지켜야 할 에티켓이 무엇이라고 보느냐?’란 질문에는, ‘인신공격이나 명예훼손하지 않기’를 가장 많이 꼽았고, ‘욕설 음담패설 무의미한 댓글 않기’와 ‘아이디와 주민등록번호 도용 않기’라는 답이 뒤를 이었다.
김재섭 정보통신전문기자 j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