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휴무를 한 서울 마포구 이마트 공덕동점에 인근 용산점은 정상영업을 한다는 펼침막이 걸려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대형마트 의무휴업 시행 50여일
70% 격주 휴업 대열…시장 깜짝세일 손님잡기
상인들 “매주 제한하면 매출 더 늘 것” 기대감
마트 납품업체 등 매출 줄고 고용축소 부작용도
지난 4월22일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 의무휴업이 본격 시행된 지 50일을 넘기면서, 매달 둘째·넷째 주말에 문을 닫는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 점포 수가 70%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에 빼앗긴 고객을 되찾으려는 전통시장의 반격이 탄력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대형마트 입점업체와 신선식품 납품업자들의 피해 등 일부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 전통시장, 의무휴업을 기회로
6월 둘째 주 의무휴업일인 8~10일(지자체별로 금, 토, 일 중 하루) 사이 전국의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의 점포 369곳 가운데 270곳(73%)이 문을 닫았다. 기업형슈퍼마켓도 롯데슈퍼가 71%(전체 430곳 가운데 304곳), 홈플러스익스프레스는 75%(315곳 가운데 237곳)가 문을 닫았다. 유통산업발전법을 바탕으로 전국의 기초지자체들이 순차적으로 조례를 통과시키면서 의무휴업과 영업시간 제한(자정~오전 8시) 대상 점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늘고 있는 것이다. 전통시장은 의무휴업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서울 중랑구 우림골목시장은 10일 전체 점포 60%가 깜짝세일에 참여했다. 3만원 이상 물건을 사면 5000원 상품권을 제공하는 행사도 벌였다. 박철우 우림골목시장 상인회장은 “주변의 4개 대형마트가 처음 문을 닫았던 지난달 27일 세일 행사로 매출이 30% 늘었고, 오늘도 손님이 많이 찾고 있다”며 “장사가 안돼 일요일에는 쉬던 상인들도 의무휴업 이후에는 문을 여는 등 시장이 전반적으로 활기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대구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서문시장은 30년 동안 휴무일로 지정해온 둘째·넷째 일요일을 첫째·셋째 일요일로 변경하고, 이날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할인행사로 손님 끌기에 나섰다. 의무휴업이 전통시장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통계도 나오고 있다. 시장경영진흥원과 소상공인진흥원이 의무휴업일이었던 지난달 27일 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 주변 중소소매업체 904곳과 전통시장 점포 41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출은 전주에 견줘 12.4%, 고객은 7.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대형마트 영업 제한을 더 확대하려는 정치권의 움직임에 대한 기대감도 표시했다. 서울 송파구 방이시장 추창식 전 상인회장은 “매주 일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하면 소비자들의 대형마트 이용 패턴이 바뀌면서 전통시장 고객 유입 효과가 훨씬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은 최근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의 의무휴업 일수를 현행 월 1~2일에서 3~4일로 강화하고, 영업 제한 시간도 오후 9시~오전 10시로 확대하는 내용의 유통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입점·납품업체 피해 부작용도
의무휴업으로 점포가 주말에 문을 닫으면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는 불가피하다. 문제는 소비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의무휴무로 줄어든 매출을 10이라고 가정하면, 지역 중소형 마트나 농협 하나로마트, 전통시장 등으로 이동하는 매출은 6~7 정도고, 나머지 3~4는 아예 소비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경제 전체로 볼 때 소비가 줄어드는 역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입점·납품업체 피해, 고용 축소 등 매출 감소에 따른 연쇄 파급 효과도 대형마트 쪽이 의무휴업 반대의 주요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홈플러스 쪽은 의무휴업일에 점포 한 곳당 식당·안경점·꽃집 등 입점업체의 매출 손실이 3억3000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농축수산물 등 신선식품을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유통업자나 농어민들도 납품물량을 줄이거나 다른 판로를 확보해야 해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이마트에 고등어를 납품하고 있는 한 업체 관계자는 “일요일엔 평일보다 2배가량 더 판매되는데 의무휴업으로 인해 매출이 10% 줄었다”고 말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영업규제 영향으로 3월 말에 비해 지난달 말 파트타임 근무자, 주말 아르바이트생 등 비정규직 근무인원이 대형마트 3사에서 3000여명 줄었다”며 “규제의 득실을 냉정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화보] ‘옹달샘 쇼’ 우리가 빼꼽 빠지게 웃겨줄게! <한겨레 인기기사>
■ 박원순 시장 “김기열씨, 몰라봐서 미안합니다~”
■ ‘종북 십자가’ 한기호 “전두환 사열논란, 한마디로 오버”
■ 카카오톡, 무료통화를 무료통화라 못하는 까닭은?
■ 여성을 길들이는 ‘착한 여자 콤플렉스’
■ 10년만의 가족여행, 여친 때문에 안 간다고?
상인들 “매주 제한하면 매출 더 늘 것” 기대감
마트 납품업체 등 매출 줄고 고용축소 부작용도
6월 둘째 주 의무휴업일인 8~10일(지자체별로 금, 토, 일 중 하루) 사이 전국의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의 점포 369곳 가운데 270곳(73%)이 문을 닫았다. 기업형슈퍼마켓도 롯데슈퍼가 71%(전체 430곳 가운데 304곳), 홈플러스익스프레스는 75%(315곳 가운데 237곳)가 문을 닫았다. 유통산업발전법을 바탕으로 전국의 기초지자체들이 순차적으로 조례를 통과시키면서 의무휴업과 영업시간 제한(자정~오전 8시) 대상 점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늘고 있는 것이다. 전통시장은 의무휴업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서울 중랑구 우림골목시장은 10일 전체 점포 60%가 깜짝세일에 참여했다. 3만원 이상 물건을 사면 5000원 상품권을 제공하는 행사도 벌였다. 박철우 우림골목시장 상인회장은 “주변의 4개 대형마트가 처음 문을 닫았던 지난달 27일 세일 행사로 매출이 30% 늘었고, 오늘도 손님이 많이 찾고 있다”며 “장사가 안돼 일요일에는 쉬던 상인들도 의무휴업 이후에는 문을 여는 등 시장이 전반적으로 활기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대구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서문시장은 30년 동안 휴무일로 지정해온 둘째·넷째 일요일을 첫째·셋째 일요일로 변경하고, 이날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할인행사로 손님 끌기에 나섰다. 의무휴업이 전통시장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통계도 나오고 있다. 시장경영진흥원과 소상공인진흥원이 의무휴업일이었던 지난달 27일 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 주변 중소소매업체 904곳과 전통시장 점포 41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출은 전주에 견줘 12.4%, 고객은 7.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대형마트 영업 제한을 더 확대하려는 정치권의 움직임에 대한 기대감도 표시했다. 서울 송파구 방이시장 추창식 전 상인회장은 “매주 일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하면 소비자들의 대형마트 이용 패턴이 바뀌면서 전통시장 고객 유입 효과가 훨씬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은 최근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의 의무휴업 일수를 현행 월 1~2일에서 3~4일로 강화하고, 영업 제한 시간도 오후 9시~오전 10시로 확대하는 내용의 유통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입점·납품업체 피해 부작용도
의무휴업으로 점포가 주말에 문을 닫으면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는 불가피하다. 문제는 소비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의무휴무로 줄어든 매출을 10이라고 가정하면, 지역 중소형 마트나 농협 하나로마트, 전통시장 등으로 이동하는 매출은 6~7 정도고, 나머지 3~4는 아예 소비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경제 전체로 볼 때 소비가 줄어드는 역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입점·납품업체 피해, 고용 축소 등 매출 감소에 따른 연쇄 파급 효과도 대형마트 쪽이 의무휴업 반대의 주요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홈플러스 쪽은 의무휴업일에 점포 한 곳당 식당·안경점·꽃집 등 입점업체의 매출 손실이 3억3000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농축수산물 등 신선식품을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유통업자나 농어민들도 납품물량을 줄이거나 다른 판로를 확보해야 해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이마트에 고등어를 납품하고 있는 한 업체 관계자는 “일요일엔 평일보다 2배가량 더 판매되는데 의무휴업으로 인해 매출이 10% 줄었다”고 말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영업규제 영향으로 3월 말에 비해 지난달 말 파트타임 근무자, 주말 아르바이트생 등 비정규직 근무인원이 대형마트 3사에서 3000여명 줄었다”며 “규제의 득실을 냉정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화보] ‘옹달샘 쇼’ 우리가 빼꼽 빠지게 웃겨줄게! <한겨레 인기기사>
■ 박원순 시장 “김기열씨, 몰라봐서 미안합니다~”
■ ‘종북 십자가’ 한기호 “전두환 사열논란, 한마디로 오버”
■ 카카오톡, 무료통화를 무료통화라 못하는 까닭은?
■ 여성을 길들이는 ‘착한 여자 콤플렉스’
■ 10년만의 가족여행, 여친 때문에 안 간다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