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한센
미국 소비자연맹 수석연구원 마이클 한센 인터뷰
“먹거리 안전은 소비자의 ‘알 권리’에서 출발합니다. 위험하든 위험하지 않든,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 맞습니다.”
미국 소비자연맹과 <컨슈머리포트>의 수석연구원인 마이클 한센(60·[♣사진♣]) 박사는 먹거리에 대한 알 권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2013 국제 사회적경제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한 한센 박사는 식품 안전 전문가로, 20년 넘게 유전자조작식품과 광우병, 동물성 사료의 항생물질 등을 비판해왔다.
그는 유전자조작 식품은 궁극적으로 시장에서 퇴출돼야 한다고 본다. 먹거리 안전뿐만 아니라, 농부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공동체를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는 지역농산물인 로컬 푸드 소비로 지역 농부들의 자립를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미국에서 방사능 오염에 대해 경각심이 생겨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에서도 일본산 생선과 해산물(안전성)에 대해 굉장히 민감하고, 공기 중의 방사능 오염도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시민들이 (일본 원전) 방사능 오염에 민감한 건 당연하다. 위험하지 않다는 정부의 말은 믿기가 어렵다.”
한센 박사는 국내에는 미국산 쇠고기의 위험성을 경고한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불안감에서 촉발된 촛불 집회를 기억하고 있었다. “당시 한국에서 촛불 집회가 일어나면서 이명박 대통령이 태도를 바꿨다. 촛불 집회는 시민 저항이 정부를 압박할 수 있었던 좋은 사례”라고 말했다.
지난 1월 웬디 커틀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 한국담당 대표보는 한·미 쇠고기 수입위생조건의 협의 조항을 들어, 월령 30개월 이상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을 한국 정부에 요청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는 “만약 한국 정부가 30개월 이상된 쇠고기를 받겠다고 하면 그땐 시민들이 더 큰 관심을 갖고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우병의 99%는 30개월 이상의 소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센 박사는 지난 1일 미국에서 쇠고기 수입 규제를 완화하는 법안이 발표됐다고 전했다. 그는 “30개월이 넘는 것을 포함한 뼈 없는 쇠고기를 수입한다는 내용인데, 굉장히 위험하다. 미국이 자신들의 규제 완화를 빌미로 한국 등 다른 나라들에도 규제 완화를 압박할 수도 있다”고 했다.
한센 박사는 시민들 스스로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만이 먹거리 안전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돈의 말, 즉 기업의 말을 듣게 돼 있다. 후원금을 내는 기업들의 입장을 따를 수밖에 없다. 시민들의 먹거리 안전을 지켜주지 않는다. 먹거리 안전에 관심을 갖고 목소리를 내는 게 시민들의 유일하고도 강력한 무기다.” ♣H6s박보미 기자 bomi@hani.co.kr 사진 서울시사회적경제센터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