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인터넷 광고나 판매 권유자의 전화·방문 판매를 통해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가 피해를 본 소비자의 상담 건수가 2010년 439건, 2011년 476건, 2012년 480건으로 해마다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소비자원이 2012년 인터넷 광고를 보고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구매한 뒤 피해를 본 149건을 분석했더니 광고와 달리 효과가 없었다는 응답이 47.7%로 가장 많았다. 부작용(23.0%)과 충동구매(19.0%), 관리소홀(6.3%) 등이 뒤를 이었다.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위해 지출한 금액은 평균 218만원이었고, 가장 많은 금액은 12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별로는 1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65.5%로 가장 많았다.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구입할 때 접한 광고내용은 책임감량·단기감량(42.3%), 철저한 관리(30.5%), 식이요법이나 운동 불필요(21.9%), 체질개선·건강관리(5.3%) 등이었다.
이춘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